
1. 서론
-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국지적 홍수가 빈번해지면서 하천 만곡부에서의 흐름 특성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중요해짐.
- 자연하천의 만곡부는 곡률 변화에 따라 유동 특성이 크게 변하며, 홍수 시 통수능 저하 및 범람 가능성을 증가시킴.
- 본 연구에서는 2D RMA-2 모델과 3D FLOW-3D 모델을 이용하여 낙동강 본류의 만곡부 흐름 특성을 비교 분석함.
2.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지역
- 연구 대상 구간: 낙동강 본류 중 낙동수위표 기준 하류 14km 구간.
- 만곡비(Curve Ratio) = 1.044 (연구 대상 구간의 곡률).
- 100년 빈도 홍수량을 적용하여 2D 및 3D 모델의 수치해석 수행.
FLOW-3D 기반 3D 모델링
- VOF(Volume of Fluid) 기법을 이용하여 자유 수면 추적.
- RNG k-ε 난류 모델을 적용하여 난류 해석 수행.
- FAVOR(Fractional Area/Volume Obstacle Representation) 기법을 사용하여 복잡한 지형을 반영.
- 경계 조건 설정:
- 유입부: 부피 유량(Volume flow rate) 조건 적용.
- 유출부: 자유 배출(Outflow) 조건 설정.
- 벽면: No-slip 조건 적용.
3. 연구 결과
유속 특성 비교
- 2D 모델(RMA-2)의 평균 유속이 3D 모델(FLOW-3D)보다 약 1.3배 높게 나타남.
- 만곡부 외측에서 3D 모델은 수충(erosion)으로 인해 와류(Vortex)가 발생하였지만, 2D 모델에서는 발생하지 않음.
- 내측으로 갈수록 두 모델 간 유속 차이가 점차 감소.
- 최대 유속이 발생하는 위치는 두 모델에서 동일하게 나타남.
편수위(Super Elevation) 특성 비교
- 만곡부 외측에서 최대 수위 발생, 내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위 확인.
- 2D 모델: 내측의 수위 감소율이 외측의 증가율보다 큼.
- 3D 모델: 외측의 수위 증가율이 내측의 감소율보다 큼.
- 3D 모델에서 외측 수위가 더 높아진 이유는 수충의 영향으로 인한 추가적인 난류 효과 때문으로 분석됨.
4. 결론 및 제안
결론
- FLOW-3D 기반 3D 모델은 만곡부의 유동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반영함.
- 2D 모델은 상대적으로 계산 속도가 빠르지만, 수충 영향과 와류 발생 등의 복잡한 흐름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려움.
- 3D 모델의 경우 복잡한 지형 및 난류 효과를 정밀하게 고려할 수 있어 하천 정비 및 홍수 예측에 유용함.
향후 연구 방향
- 3D 모델을 활용한 다양한 곡률 및 하폭 조건에서의 흐름 특성 분석 필요.
- 하천 내 식생 및 지형 변화가 흐름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실제 현장 관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 검증 연구 수행.
5. 연구의 의의
본 연구는 FLOW-3D를 활용하여 자연하천 만곡부에서의 유동 특성을 수치적으로 분석하고, 2D 및 3D 모델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향후 홍수 예방 및 하천 정비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데이터 및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6. 참고 문헌
- 건설교통부, 1993, 낙동강하천정비기본계획.
- 김창성, 2005, FLOW-3D를 이용한 교각 주변 흐름의 수치해석,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 박기범, 2007, 급경사 만곡부 하도의 2차원 수리특성 해석, 한국환경과학회지, 16(9), 1039-1049.
- 서일원, 백경오, 성기훈, 2002, S자형 만곡 수로의 흐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11, 115-118.
- 안승섭, 이상일, 김정기, 박동일, 2011, 하도만곡부의 흐름특성 연구를 위한 실험적 고찰, 한국환경기술학회지, 12(1), 7-14.
- 안승섭, 이상일, 박동일, 김위석, 2011, 하도만곡형상에 따른 수리특성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20(10), 1309-1317.
- 윤선권, 2007, FLOW-3D를 이용한 하천흐름 해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 정재욱, 정현수, 이종설, 윤세의, 2000, RMA-2모형을 이용한 만곡수로의 흐름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0(4-B), 479-489.
- 최보람, 2010, FLOW-3D를 이용한 댐 여수로 흐름현상 검토,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 EMRL(Environmental Modeling Research Laboratory), 2000, SMS (Surface-water modeling System) RMA-2 User’s Manual, Brigham Young University, Utah, 11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