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ur Dike 주변 유동 및 국부 세굴의 3차원 수치 시뮬레이션

연구 배경 및 목적
문제 정의: Spur Dike(수로 둑)는 강변 보호 및 수로 흐름 조절을 위해 사용되며, 구조물 주변의 복잡한 난류 및 세굴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유지보수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연구 목적:
- FLOW-3D를 이용하여 Spur Dike 주변 유동장 및 세굴 과정을 수치적으로 분석.
- 난류 모델(RNG k-ε)과 세굴 모델(Shields number 기반) 적용하여 세굴 깊이 및 흐름 변화 예측.
-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여 모델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세굴 메커니즘을 이해.
연구 방법
Spur Dike 및 유동 모델링
- Spur Dike는 비침수(non-submerged) 조건으로 설정.
- 연속 방정식 및 Navier-Stokes 방정식을 사용하여 유동 해석 수행.
- VOF(Volume of Fluid) 기법을 이용하여 자유 수면 추적.
- 세굴 모델: Shields number를 적용한 이동 가능 하상 모델.
- 난류 모델: RNG k-ε 모델 사용.
경계 조건 및 격자 설정
- 유입: 0.29m/s 속도의 입구 유동 경계 조건 적용.
- 유출: 자유 유출(outflow) 경계 설정.
- 하천 바닥: 이동 가능한 침전층으로 설정(평균 입자 크기 0.145cm, 비중 1.9g/cm³).
- 격자 수: 약 600,000개 비균일(non-uniform) 격자 사용.
주요 결과
유동장 및 난류 특성 분석
- Spur Dike 후류(wake zone)에서 시계방향 와류(clockwise vortex) 발생, 이는 불규칙한 타원형 형태를 보임.
- 유속 분포 분석 결과:
- Spur Dike 전면에서 최대 유속 0.56m/s까지 증가 후 급감.
- Dike 후방에서 속도 회복 및 역류(backflow) 형성.
- Horseshoe Vortex(말굽 와류)가 세굴 형성의 주요 원인.
세굴 과정 및 형상 변화
- 세굴 과정은 초기 단계 → 주요 세굴 단계 → 균형 단계의 3단계로 구분.
- 주요 세굴 단계에서 침수 유동과 말굽 와류가 강하게 형성, 세굴 깊이 급격히 증가.
- 균형 단계에서는 유속이 감소하며 세굴 진행이 멈춤.
- 실험과 비교 시 최대 세굴 깊이 7.8cm, 경사 35°로 유사한 결과 도출.
결론 및 향후 연구
결론
- FLOW-3D 기반 세굴 시뮬레이션이 실험 결과와 높은 정확도로 일치함을 확인.
- Spur Dike 주변 침수 유동과 말굽 와류가 주요 세굴 요인임을 입증.
- 세굴 깊이는 초기 및 주요 세굴 단계에서 대부분 결정되며, 이후 큰 변화 없음.
- 난류 및 퇴적물 이동의 복잡성으로 인해 실험값과의 완벽한 일치는 어렵지만, 전반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임.
향후 연구 방향
- 다양한 Spur Dike 형상 및 배치에 따른 유동 변화 분석.
- LES(Large Eddy Simulation) 난류 모델과 비교 검토.
- 세굴 예측 모델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실험 검증 수행.
연구의 의의
이 연구는 Spur Dike 주변 세굴의 수치적 분석을 수행하여, 유동 및 세굴 형상의 변화 원인을 규명하였다. 하천 구조물의 안정성 평가 및 설계 최적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실용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Reference
- Chen B. The numerical simulation of local scour in front of a vertical-wall breakwater[J]. Journal of Hydrodynamics, Ser. B. 2006, 18(3): 134-138.
- Duan, J. G.Mean flow and turbulence around an experimental spur dike. J. Hydraul. Eng., 2009,134 (3), 315-327.
- Engelund F, Fredsøe J. A sediment transport model for straight alluvial channels [J]. Nordic Hydrology. 1976, 7(5): 293-306.
- LI Zhong-we, YU Ming-hui. Numerical simulation of local flow field around spur dike. Wuhan university journal of hydraulic and electric engineering, 2000, 33(3): 18-22.
- Michiue, M., and Hinokidani, O., Calculation of 2dimensional Bed Evolution around S pur-dike, Annual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JSCE, 1992, Vol. 36: 61-66.
- Pan Qing-shen, Yu Wen-chou et al., Research summary of spur dike in foreign [J]. Yangtze River, 1979, (3):51-61. Peng ling, Nobuyuki Tamai, Y oshihisa K awahara. Numerical modeling of local scour around spur dikes.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2002(1):25-29.
- Tingsanchali T, Maheswaran S. 2-D depth-averaged flow computation near groyne. Joum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1990, 116(1): 71-86.
- Yakhot V. Orszag S A. Renormalization-group analyses of turbulence [J]. Physical review letters. 1986, 57(14): 1722-1724.
- Ying Qiang. Jiao Zhi-bin. Hydraulic Properties of Groyne [M] Bingjing: Maritime Press, 2004. Zhang Han, Hajime NAKAGAWA et al. Experiment and simulation of turbulent flow in local scour around a spur dyke. International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Vol. 24, No. 1, 2009-33-45.
- Zhang Rui-jin. River sediment dynamics. [M].Beijing: China Water Power Press, 1998. Zhang, H., Nakagawa, H., Ishigaki, T, and Muto, Y. Prediction of 3D flow field and local scouring around spur dikes. Ann. J. Hydraul. Eng., 2005, 49, 1003-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