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W-3D를 이용한 침전지 유입구 및 배플 위치가 제거 효율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배경 및 목적
문제 정의
- 중력 침전은 수처리 및 하수처리 공정에서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임.
- 침전지의 유입구 및 배플의 위치는 유동 패턴에 영향을 미쳐 제거 효율을 결정함.
- 기존 설계 방식은 실험적 공식에 의존하며, 유체역학적 세부 사항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함.
연구 목적
- FLOW-3D를 활용하여 침전지에서 유입구 높이, 배플 거리, 배플 높이가 제거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적으로 분석.
- 중앙 복합 설계법(central composite design, CCD)을 사용하여 최적화된 설계를 도출.
- 최적 조건을 도출하여 효율적인 침전지 설계를 위한 기초 데이터 제공.
연구 방법
침전지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설정
- 침전지 크기: 길이 6m, 너비 1m, 깊이 1.2m
- 유입 유량: 120 L/s
- 입자 특성: 평균 입경 0.11~0.25mm, 밀도 2650kg/m³
- 경계 조건:
- 유입부: 일정 유량 조건 적용
- 유출부: 고정 배출 조건 설정
- 배플: 다양한 높이 및 거리 조건 적용
중앙 복합 설계(CCD) 기반 실험 설계
- 설정 변수:
- 유입구 높이(0.125~1.125m)
- 배플 거리(0.5~5.5m)
- 배플 높이(0~1m)
- 반응 변수: 부유물 제거 효율(%)
수치 해석 기법
- FLOW-3D를 사용한 CFD 해석 수행
- RANS(Reynolds Averaged Navier-Stokes) 방정식 기반 해석
- 격자 독립성 분석 후 최적 격자 크기 2cm 설정
주요 결과
유입구 및 배플 위치가 제거 효율에 미치는 영향
- 배플 미설치 시 제거 효율 75.9%, 최소 제거 효율은 69.3%, 최대 제거 효율은 79.5%.
- 유입구 높이 증가: 적절한 높이(0.87m)에서 제거 효율 증가, 과도한 상승 시 효율 저하.
- 배플 거리 증가: 0.77m에서 최적 제거 효율 도출, 너무 멀 경우 효율 저하.
- 배플 높이 증가: 0.56m에서 최적 제거 효율 도출, 너무 높으면 효율 감소.
최적 설계 도출
- 유입구 높이: 0.87m, 배플 거리: 0.77m, 배플 높이: 0.56m에서 80.6%의 제거 효율 예측됨.
- FLOW-3D 시뮬레이션을 통해 79.6%의 제거 효율 확인 → 모델의 신뢰성 검증됨.
결론 및 향후 연구
결론
- FLOW-3D를 활용한 수치 시뮬레이션이 침전지 유동 특성을 정확히 예측 가능함을 확인.
- 유입구 및 배플 위치 최적화가 침전지의 제거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
- 배플 설계 시 높이, 거리 등을 신중히 조절해야 하며, 부적절한 배플 설치는 오히려 효율 저하를 초래할 수 있음.
향후 연구 방향
- 다양한 형상의 배플을 적용한 추가 실험 수행.
- 실제 현장 실험을 통한 모델 검증.
- 다층 침전지 설계를 위한 추가 해석 수행.
연구의 의의
본 연구는 FLOW-3D를 활용하여 침전지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수처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References
- Shahrokhi, M., F. Rostami, M.A. Md. Said, S.R.S. Yazdi, and Syafalni, (2013).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baffle position on the flow field, sediment concentration, and efficiency of rectangular primary sedimentation tank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39(1): p. 88-94.
- Shahrokhi, M., F. Rostami, M.A.M. Said, and S.R.S. Yazdi, (2012). The effect of number of baffles on the improvement efficiency of primary sedimentation tanks. Applied Mathematical Modelling, 36(8): p. 3725-3735.
- Borna, M., A. Janfeshan, E. Merufinia, and A. Asnaashari, (2014). Numerical simulations of distribution and sediment transmission in pre-settled pools using Finite Volume Method and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and Urbanism, 4(3): p. 287-292.
- Rad, M.J., P.E. Firoozabadi, and F. Rostami, (2022).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Dimensions of Rectangular Sedimentation Tanks on Its Hydraulic Efficiency Using Flow-3D Software. Acta Technica Jaurinensis, 15(4): p. 207-220.
- Hirom, K. and T.T. Devi, (2022). Application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in sedimentation tank design and its recent developments: A review. Water, Air, & Soil Pollution, 233: p. 1-26.
- Tarpagkou, R. and A. Pantokratoras, (2014). The influence of lamellar settler in sedimentation tanks for potable water treatment—A computational fluid dynamic study. Powder Technology, 268: p. 139-149.
- Razmi, A.M., R. Bakhtyar, B. Firoozabadi, and D.A. Barry, (2013). Experiments and numerical modeling of baffle configuration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sedimentation tanks.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40(2): p. 140-150.
- Liu, Y., P. Zhang, and W. Wei, (2016). Simulation of effect of a baffle on the flow patterns and hydraulic efficiency in a sedimentation tank.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 57(54): p. 25950-25959.
- Saeedi, E., E. Behnamtalab, and S. Salehi Neyshabouri, (2020). Numerical simulation of baffl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sedimentation basin. Water and Environment Journal, 34(2): p. 212-222.
- Guo, H., S.J. Ki, S. Oh, Y.M. Kim, S. Wang, and J.H. Kim, (2017). Numerical simulation of separation proces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removal in tertiary sedimentation tank mounting adjustable baffle. Chemical Engineering Science, 158: p. 21-29.
- Razmi, A.M., R. Bakhtyar, B. Firoozabadi, and D.A. Barry, (2013). Experiments and
numerical modeling of baffle configuration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sedimentation tanks.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40(2): p. 140-150. - Liu, Y., P. Zhang, and W. Wei, (2016). Simulation of effect of a baffle on the flow patterns
and hydraulic efficiency in a sedimentation tank.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 57(54):
p. 25950-25959. - Saeedi, E., E. Behnamtalab, and S. Salehi Neyshabouri, (2020). Numerical simulation of baffl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sedimentation basin. Water and environment journal,. 34(2): p.
212-222. - Miri, J.K., B. Aminnejad, and A. Zahiri, (2023). Numerical Study of Flow Pattern, Sediment
Field and Effect of the Arrangement of Guiding Blades (Baffles) on Sedimentation in PreSedimentation Basins by Numerical Models. Water Resources,. 50(1): p. 68-81. - Heydari, M.M., M. Rahbani, and S.M.M. Jamal, (2014).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s of baffle effect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sedimentation basin. Advances in
Environmental Biology,: p. 1015-1022. - Guo, H., S.J. Ki, S. Oh, Y.M. Kim, S. Wang, and J.H. Kim, (2017). Numerical simulation of
separation process for enhancing fine particle removal in tertiary sedimentation tank mounting
adjustable baffle. Chemical engineering science,. 158: p. 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