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W-3D를 이용한 충주댐 보조여수로 설치 계획 평가 및 개선안 제시

연구 배경 및 목적
문제 정의
-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 강우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댐의 홍수 방류 능력을 증대하는 사업이 진행 중임.
- 충주댐은 기존 여수로 용량(17,000 m³/s) 외에도 추가적인 홍수 방류를 위해 보조여수로(11,000 m³/s) 건설이 계획됨.
- 대형 수리구조물 설계에는 물리적 수리 모형 실험이 일반적으로 활용되지만,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다양한 대안을 검토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음.
- 최근 3차원 수치해석(FLOW-3D 등)이 물리 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음.
연구 목적
- FLOW-3D를 활용하여 충주댐 보조여수로 설계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 월류위어(Spillway), 접근수로(Approach Channel), 도류터널(Tunnel) 등 주요 구조물의 수리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 설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함.
연구 방법
FLOW-3D 모델링 설정
- VOF(Volume of Fluid) 기법을 사용하여 자유 수면 해석 수행.
- 난류 모델: RNG k-ε 난류 모델 적용.
- 격자(grid) 설정:
- 구조물이 복잡한 영역은 세밀한 격자 사용, 단순한 영역은 큰 격자로 구성하여 계산 효율 최적화.
- 총 격자 수: 약 17,680,256개.
- 경계 조건(Boundary Conditions):
- 상류(저수지) 수위: EL. 146.0m
- 하류(방류 구간) 수위: EL. 89.6m
비교 분석 대상
- 기존 설계안
- 개선 설계안:
- 월류위어 폭 확대
- 접근수로 위치 조정
- 도류터널 직경 확대 및 형상 변경
주요 결과
① 월류위어(Spillway) 평가
- 기존 설계(폭 9.5m)의 방류량: 10,588.7 m³/s → 계획 방류량(11,000 m³/s)보다 411.3 m³/s 부족(3.7% 미달).
- 폭을 10.0m로 확대한 개선안에서는 총 방류량 11,064 m³/s 확보 가능.
② 접근수로(Approach Channel) 평가
- 기존 설계에서는 월류위어 좌측 교대(Pier)로 인해 와류(Vortex) 발생 → 수면 저하 및 유속 증가(4 m/s 초과).
- 월류위어를 83m 하류로 이동하는 개선안을 적용한 결과, 와류 감소 및 유속 4 m/s 이하로 안정화됨.
③ 도류터널(Tunnel) 평가
- 기존 설계: 직경 15.8m, 곡선형 3련 터널 → 터널 내 편류(偏流) 발생 및 유동 불안정 문제 확인.
- 개선안:
- 직경 16.3m로 확대하여 터널 내 통수단면비(Flow Area Ratio) 73.35%로 감소(기준 만족).
- 곡선형 터널을 직선형으로 변경 → 편류 감소 및 유동 안정성 확보.
결론 및 향후 연구
결론
- FLOW-3D를 활용한 충주댐 보조여수로 설계 검토 결과, 기존 설계에서 일부 문제점(방류량 부족, 유속 초과, 편류 발생)이 확인됨.
- 월류위어 폭 확대(9.5m → 10.0m), 위치 이동(하류 83m), 도류터널 직경 확대(15.8m → 16.3m), 직선형 터널 적용을 통해 개선 가능.
- FLOW-3D 기반 수치해석이 수리 모형 실험을 대체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설계 대안을 검토하는 데 효과적임.
향후 연구 방향
- 더 다양한 홍수 시나리오 적용하여 최적 설계 검토.
- LES(Large Eddy Simulation) 난류 모델을 활용한 세부 유동 해석 진행.
- 실제 시공 후 모니터링 데이터를 활용하여 모델 검증 연구 수행.
연구의 의의
이 연구는 FLOW-3D를 활용하여 대규모 수리구조물(댐 보조여수로)의 설계를 평가하고 최적화하는 방법론을 제시한 연구로, 향후 홍수 대응 및 방류시설 설계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데이터를 제공하였다.



References
- Ahn, C.H. (2003). Application of CFD program for analyzing the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baffled PAC contactor. Ph.D.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Ho, D.K.H., Boyes, K.M., and Donohoo, S.M. (2001). Investigation of spillway behavior under increased maximum flood b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echnique. 14th Australasian Fluid Mechanics Conference, pp. 10-14.
- Jeong, C.S. (2015). Discharge coefficient of side weir for various curvatures simulated by FLOW-3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ol. 8, No. 1, pp. 5-13.
- Jeong, J.W., Jeung, S.J., and Kim, B.S. (2021). Future extreme climate analysis of Jeju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and ETCCDI index. J. Korean Soc. Hazard Miti., Vol. 21, No. 4, pp. 13-21.
- Joo, J.G., Lee, J.M., and Park, M.J. (2023). Evaluation of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the steep slope maintenance project.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23, No. 1, pp. 37-42.
- Kang, S.H. (2012). A comparison of hydraulic phenomenon in inlet and outlet point in retention reservoir using FLOW-3D model and hydraulic experiment.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 Kim, D.G., Choi, J.W., Kim, C.S., and Lee, J.W. (2005). Spillway design by using hydraulic and numerical model wxperiment: Case study of hwabuk multipurpose da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8, No. 3, pp. 179-188.
- Kim, H.Y., Zhang, X.H., Cho, J.H., and Joo, J.G. (2020). Analysis of regional drought correlation using drought indicators.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20, No. 6, pp. 283-290.
- Kim, N.I. (2003). Investigation of scale effects of hydraulic model for dam spillway using 3-D CFD model.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K-Water. (1994). Basic plan to review dam hydrological stability and increase flood control capacity.
- Oh, B.D. (2004). Flow analysis of parshall flume using FLOW-3D. Ph.D.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Savage, B.M., and Johnson, M.C. (2001). Flow over ogee spillway: Physical and numerical model case study.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27, No. 8, pp. 640-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