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화학 반응기에 대한 3D 수치 시뮬레이션 및 측정을 사용하여 동시 초음파 처리 유무에 관계없이 물에서 스트론튬 제거 효율을 분석했습니다. 초음파는 작동 주파수가 25kHz인 4개의 초음파 변환기를 사용하여 생성되었습니다. 반응기는 2개의 블록으로 배열된 8개의 알루미늄 전극을 사용했습니다.
LICHT K.1*, LONČAR G.1, POSAVČIĆ H.1, HALKIJEVIĆ I.1 1 Department of Hydroscience and Engineering, Faculty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Zagreb, Andrije Kačića-Miošića 26, 10000 Zagreb, Croatia *corresponding author: e-mail:katarina.licht@grad.unizg.hr
물 속의 스트론튬 이온은 3.2∙10-19C의 전하와 1.2∙10-8m의 직경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로 모델링됩니다. 수치 모델은 기본 유체 역학 모듈, 정전기 모듈 및 일반 이동 객체 모듈을 사용하여 Flow-3D 소프트웨어에서 생성되었습니다.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연구된 원자로 변형의 성능은 시뮬레이션 기간이 끝날 때 전극에 영구적으로 유지되는 모델 스트론튬 입자 수와 물 속의 초기 입자 수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실험실 반응기의 경우 스트론튬 제거 효과는 실험 종료 시와 시작 시 물 내 균일한 스트론튬 농도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결과는 초음파를 사용하면 수처리 180초 후에 스트론튬 제거 효과가 10.3%에서 11.2%로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는 동일한 기하학적 특성을 갖는 원자로에 대한 측정 결과와 일치합니다.
3D numerical simulations and measurements on an electrochemical reactor were used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strontium removal from water, with and without simultaneous ultrasound treatment. Ultrasound was generated using 4 ultrasonic transducers with an operating frequency of 25 kHz. The reactor used 8 aluminum electrodes arranged in two blocks. Strontium ions in water are modeled as particles characterized by a charge of 3.2∙10-19 C and a diameter of 1.2∙10-8 m. The numerical model was created in Flow-3D software using the basic hydrodynamic module, electrostatic module, and general moving objects module. The performance of the studied reactor variants by numerical simulations is defined by the ratio of the number of model strontium particles permanently retained on the electrodes at the end of the simulation period to the initial number of particles in the water. For the laboratory reactor, the effect of strontium removal is defined by the ratio of the homogeneous strontium concentration in the water at the end and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ultrasound increases the effect of strontium removal from 10.3% to 11.2% after 180 seconds of water treatment. The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s agree with the results of measurements on a reactor with the sam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Dong, B., Fishgold, A., Lee, P., Runge, K., Deymier, P. and Keswani, M. (2016), Sono-electrochemical recovery of metal ions from their aqueous solution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318, 379–387. https://doi.org/10.1016/J.JHAZMAT.2016.07.007 EPA. (2014), Announcement of Final Regulatory Determinations for Contaminants on the Third Drinking Water Contaminant Candidate List. Retrieved from http://fdsys.gpo.gov/fdsys/search/home.action Fu, F., Lu, J., Cheng, Z. and Tang, B. (2016), Removal of selenite by zero-valent iron combined with ultrasound: Se(IV) concentration changes, Se(VI) generation, and reaction mechanism, Ultrasonics Sonochemistry, 29, 328–336. https://doi.org/10.1016/j.ultsonch.2015.10.007 Ince, N.H. (2018), Ultrasound-assisted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or water decontamination, Ultrasonics Sonochemistry, 40, 97–103. https://doi.org/10.1016/j.ultsonch.2017.04.009 Kamaraj, R. and Vasudevan, S. (2015), Evaluation of electrocoagulation process for the removal of strontium and cesium from aqueous solutio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and Design, 93, 522–530. https://doi.org/10.1016/j.cherd.2014.03.021 Luczaj, J. and Masarik, K. (2015), Groundwater Quantity and Quality Issues in a Water-Rich Region: Examples from Wisconsin, USA, Resources, 4(2), 323–357. https://doi.org/10.3390/resources4020323 Mohapatra, D.P. and Kirpalani, D.M. (2019), Selenium in wastewater: fast analysis method development and advanced oxidation treatment application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A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n Water Pollution Research, 79(5), 842–849. https://doi.org/10.2166/wst.2019.010
Mollah, M.Y.A., Schennach, R., Parga, J.R. and Cocke, D.L.(2001), Electrocoagulation (EC)- Science and application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84(1), 29–41. https://doi.org/10.1016/S0304-3894(01)00176-5
Moradi, M., Vasseghian, Y., Arabzade, H. and Khaneghah, A.M. (2021), Various wastewaters treatment by sonoelectrocoagulation process: A comprehensive review of operational parameters and future outlook, Chemosphere, 263, 128314. https://doi.org/10.1016/J.CHEMOSPHERE.2020.12831 4 Peng, H., Yao, F., Xiong, S., Wu, Z., Niu, G. and Lu, T. (2021), Strontium in public drinking water and associated public health risks in Chinese cities,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International, 28(18), 23048. https://doi.org/10.1007/S11356-021-12378-Y Scott, V., Juran, L., Ling, E.J., Benham, B. and Spiller, A. (2020), Assessing strontium and vulnerability to strontium in private drinking water systems in Virginia, Water, 12(4). https://doi.org/10.3390/w12041053 Ziylan, A., Koltypin, Y., Gedanken, A. and Ince, N.H. (2013), More on sonolytic and sonocatalytic decomposition of Diclofenac using zero-valent iron, Ultrasonics Sonochemistry, 20(1), 580–586. https://doi.org/10.1016/j.ultsonch.2012.05.00
Design of Inductive Sensor System for Wear Particles in Oil
NIU Ze, LI Kai, BAI Wenbin, SUN Yuanyuan, GONG Qingqing, HAN Yan Shanxi Provincial Key Laboratory of Information Detection and Processing, North University of China, Taiyuan 030051
Abstract
오일의 연마 입자는 엔진 및 기타 장비의 마모 상태를 반영할 수 있습니다.오일 금속 연마 입자의 온라인 모니터링을 실현하기 위해 전자기 원리에 기반한 3코일 센서의 수학적 모델이 설정되었습니다. 유도 및 센서의 최적 구조 매개변수(내경), 간격, 너비 등), 간섭성 복조 모델을 사용하여 마모 입자 신호를 추출하고 마모 입자 신호의 생성 원리를 분석합니다.
시스템은 다층 차폐 구조를 채택하여 외부 자기장 간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설계된 센서 감지 시스템은 관련 테스트를 위해 팬 기어 박스의 오일 회로에 연결됩니다. 테스트 결과 시스템은 마모 입자 신호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마모 입자 신호는 동시에 연마 입자의 속도와 크기에 영향을 받습니다.
1-18의 유속에서 187μm 강자성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L/min 금속 연마 입자 및 578μm 비강자성 금속 연마 입자의 검출은 BP 신경망과 결합되어 오일 금속 연마 입자의 특성 매개변수를 적응적으로 구별할 수 있으며, 이는 오일 연마 입자의 개발에 대한 이론적 지원을 제공합니다.
미래의 라인 모니터링 장비 그리고 기술 지원은 기계 장비의 고장 진단을 위한 중요한 기반을 제공합니다.
[1] 郭静英, 赵志龙, 陈森, 等. 二节螺线管式润滑油金属颗粒传感器研究[J]. 仪表技术与传感器, 2018(1):13-16. GUO Jingying, ZHAO Zhilong, CHEN Sen, et al. Research on two-section solenoid type lubricating oil metal particle sensor[J]. Instrument Technology and Sensor, 2018(1):13-16. [2] 张勇, 司二伟, 李国盛, 等. 润滑油金属磨粒传感器设计及试验研究[J]. 润滑与密封, 2017, 42(4):89-94. ZHANG Yong, SI Erwei, LI Guosheng, et al. Design and experimental study of lubricating oil metal abrasive sensor[J]. Lubrication and Sealing, 2017, 42(4):89-94. [3] 曾霖, 张洪朋, 滕怀波, 等. 一种船机油液多污染物检测新方法研究[J]. 机械工程学报, 2018, 54(12):125-132. ZENG Lin, ZHANG Hongpeng, TENG Huaibo, et al. Research on a new method for detecting multiple pollutants in marine oil[J]. Journal of Mechanical Engineering, 2018, 54(12):125-132. [4] 孙衍山, 杨昊, 佟海滨, 等. 航空发动机滑油磨粒在线监测[J]. 仪器仪表学报, 2017, 38(7):1561-1569. SUN Yanshan, YANG Hao, TONG Haibin, et al. Online monitoring of aero-engine lubricant oil wear particles[J]. Chinese Journal of Scientific Instrument, 2017, 38(7):1561-1569. [5] DING Y, WANG Y, XIANG J. An online debris sensor system with vibration resistance for lubrication analysis[J]. Review of entific Instruments, 2016, 87(2):1590-1597. [6] 莫固良, 汪慧云, 李兴旺, 等. 飞机健康监测与预测系统的发展及展望[J]. 振动、测试与诊断, 2013, 33(6):925-930. MO Guliang, WANG Huiyun, LI Xingwang, et al. The development and prospect of aircraft health monitoring and prediction systems[J]. Vibration, Testing and Diagnosis, 2013, 33(6):925-930. [7] 李萌, 郑长松, 李和言, 等. 电感式磨粒在线监测传感器的激励特性分析[J]. 传感器与微系统, 2014, 33(6):19-22, 30. LI Meng, ZHENG Changsong, LI Heyan, et al. Analysis of excitation characteristics of inductive wear particle online monitoring sensors[J]. Sensors and Microsystems, 2014, 33(6):19-22, 30. [8] FAN X, LIANG M, YEAP T. A joint time-invariant wavelet transform and kurtosis approach to the improvement of in-line oil debris sensor capability[J]. Smart Materials & Structures, 2009, 18(8):1-13. [9] MURALI S, JAGTIANI A V, XIA G, et al. A microfluidic Coulter counting device for metal wear detection in lubrication oil[J]. Review of Scientific Instruments, 2009, 80(1):016105. [10] 孙广涛, 张洪朋, 顾长智, 等. 高精度微流体多参数液压油检测芯片设计[J]. 仪器仪表学报, 2019, 40(2):59-66. SUN Guangtao, ZHANG Hongpeng, GU Changzhi, et al. Design of high-precision microfluidic multi-parameter hydraulic oil detection chip[J]. Chinese Journal of Scientific Instrument, 2019, 40(2):59-66. [11] 马来好, 张洪朋, 乔卫亮, 等. 双螺线管套管结构的液压油金属颗粒检测传感器[J]. 仪器仪表学报, 2019, 40(7):216-223. MA Laihao, ZHANG Hongpeng, QIAO Weiliang, et al. Hydraulic oil metal particle detection sensor with double solenoid casing structure[J]. Chinese Journal of Scientific Instrument, 2019, 40(7):216-223. [12] 白晨朝, 张洪朋, 曾霖, 等. 双螺线圈式液压油微污染物检测传感器[J]. 仪器仪表学报, 2019, 40(6):16-22. BAI Chenchao, ZHANG Hongpeng, ZENG Lin, et al. Double spiral coil type hydraulic oil micro-pollutant detection sensor[J]. Chinese Journal of Scientific Instrument, 2019, 40(6):16-22. [13] 史皓天, 张洪朋, 曾霖, 等. 采用柱形极板的电容式油液检测传感器[J]. 仪表技术与传感器, 2019(8):8-12. SHI Haotian, ZHANG Hongpeng, ZENG Lin, et al. Capacitive oil detection sensor using columnar plates[J]. Instrument Technology and Sensor, 2019(8):8-12. [14] 虞子雷, 张洪朋, 曾霖, 等. 基于微流控谐振式芯片的金属颗粒检测[J]. 电子测量与仪器学报, 2017, 31(10):1627-1632. YU Zilei, ZHANG Hongpeng, ZENG Lin, et al. Metal particle detection based on microfluidic resonant chip[J]. Journal of Electronic Measurement and Instrument, 2017, 31(10):1627-1632. [15] 张洪朋, 白晨朝, 孙广涛, 等. 高通量微型多参数油液污染物检测传感器[J]. 光学精密工程, 2018, 26(9):2237-2245. ZHANG Hongpeng, BAI Chenchao, SUN Guangtao, et al. High-throughput miniature multi-parameter oil contaminant detection sensor[J]. Optics and Precision Engineering, 2018, 26(9):2237-2245. [16] 郑长松, 李萌, 高震, 等. 电感式磨粒传感器磨感电动势提取方法[J]. 振动. 测试与诊断, 2016, 36(1):36-41, 196. ZHENG Changsong, LI Meng, GAO Zhen, et al. Method for extracting the electromotive force of the inductive wear sensor[J]. Vibration. Test and Diagnosis, 2016, 36(01):36-41, 196. [17] 吴超, 郑长松, 马彪. 电感式磨粒传感器中铁磁质磨粒特性仿真研究[J]. 仪器仪表学报, 2011, 32(12):2774-2780. WU Chao, ZHENG Changsong, MA Biao. Simulation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erromagnetic wear particles in an inductive wear particle sensor[J]. Chinese Journal of Scientific Instrument, 2011, 32(12):2774-2780. [18] 把鑫, 王吉芳, 左云波, 等. 基于FPGA的油液在线监测系统[J]. 仪表技术与传感器, 2015(6):103-106. BA Xin, WANG Jifang, ZUO Yunbo, et al. On-line oil monitoring system based on FPGA[J]. Instrumentation Technology and Sensors, 2015(6):103-106. [19] 游修东, 陈勇, 陈遥沛. 近距离磁感应线圈的磁场计算与仿真分析[J]. 水雷战与舰船防护, 2017, 25(1):54-59. YOU Xiudong, CHEN Yong, CHEN Yaopei. Magnetic field calculation and simulation analysis of close-range magnetic induction coils[J]. Mine Warfare and Ship Protection, 2017, 25(1):54-59. [20] 高震, 郑长松, 贾然, 等. 综合传动油液金属磨粒在线监测传感器研究[J]. 广西大学学报, 2017, 42(2):409-418. GAO Zhen, ZHENG Changsong, JIA Ran, et al. Research on on-line monitoring sensor for metal wear particles in comprehensive transmission oil[J]. Journal of Guangxi University, 2017, 42(2):409-418. [21] 于振南, 刘倩, 高秀晓, 等. 基于低通滤波的相敏检波算法改进与实现[J]. 测井技术, 2018, 42(5):568-570, 576. YU Zhennan, LIU Qian, GAO Xiuxiao, et al. Improvement and realization of phase-sensitive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low-pass filtering[J]. Logging Technology, 2018, 42(5):568-570, 576. [22] 范红波, 张英堂, 李志宁, 等. 电感式磨粒传感器中铁磁质磨粒的磁特性研究[J]. 摩擦学学报, 2009, 29(5):452-457. FAN Hongbo, ZHANG Yingtang, LI Zhining, et al. Study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ferromagnetic wear particles in inductive wear particle sensors[J]. Acta Tribology, 2009, 29(5):452-457. [23] FAN Hongbo, ZHANG Yingtang, LI Zhining, et al. Design and noise control of the portable wear debris concentration detector[C]//200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asuring Technology and Mechatronics Automation, ICMTMA 2009:206-209. [24] DUKA K, GERRIT J. Advanced oil debris monitoring for pipeline mechanical drive gas turbines[C/CD]//Asme Turbo Expo:Power for Land, Sea, & Air, 2000. [25] 左云波, 谷玉海, 王立勇. 电磁式油液金属磨粒检测系统研究[J]. 设备管理与维修, 2018(13):21-23. ZUO Yunbo, GU Yuhai, WANG Liyong. Research on electromagnetic oil metal debris detection system[J]. Equipment Management and Maintenance, 2018(13):21-23. [26] DU Li, ZHU Xiaoliang, HAN Yu, et al. Improving sensitivity of an inductive pulse sensor for detection of metallic wear debris in lubricants using parallel LC resonance method[J]. Measurement Science and Technology, 2013, 24(7):075106. [27] CAO Yunpeng, LIU Rui, DU Jianwei, et al. Gas turbine bearing wear monitoring method based on magnetic plug inductance sensor[C/CD]//ASME Turbo Expo 2018:Turbomachinery Technical Conference and Exposition. 2018.
1 Water resource expert Khuzestan Water and Power Authority 2 shahid chamran univercity of ahwaz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density current is affected by different parameters, the effect of discharge rate changes, gradient and the concentration of density current on speed of the forehead and also the speed distribution in density current’s body have been investigated by physical and three-dimensional mathematical model (Flow-3d) in this research. For these purposes, different tests in the form of salty density current were done with three inflow discharge rates (0.7, 1 and 1.3 liters per second) and three different slopes (0, 1 and 2.2 percent). As well 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ensity changes on the flow characteristics, the concentration of 10, 15 and 20 grams per liter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speed of the forehead,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body and its changes with flow, density and different slopes, video camera and ultrasound profiler speedometer were used in this study. Then, forehead speed and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current’s body were achieved using six different turbulence models which are available on the software of “Flow-3D”. Comparing the results of physical and mathematical model showed that Eddy turbulence model and laminar flow mode have better accuracy in relation to other turbulent models. It should be noted that Reynolds number on experiments are at the range of 2000-4000.
밀도 흐름의 특성은 서로 다른 파라미터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방출 속도 변화, 구배 및 밀도 흐름의 농도가 수두 속도에 미치는 영향과 밀도 흐름의 볼륨 속도 분포도 물리적 및 3차원 수학 모델(Flow-3d)에 의해 조사되었습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세 가지 유입 배출 속도(초당 0.7, 1 및 1.3L)와 세 가지 다른 경사도(0, 1, 2.2%)로 염분 밀도 흐름 형태의 다른 테스트가 수행되었습니다.
밀도 변화가 흐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리터당 10, 15, 20g의 농도를 사용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수두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체내의 속도 분포와 흐름, 밀도 및 다양한 기울기와 함께 변화된 속도, 비디오 카메라 및 초음파 프로파일러 속도계를 사용했습니다.
그런 다음, “Flow-3D” 소프트웨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6가지 난류 모델을 사용하여 현재 볼륨의 수두 속도와 속도 분포를 달성했습니다.
물리적 모델과 수학적 모델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에디 난류 모델과 층류 모드가 다른 난류 모델과 비교하여 더 나은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레이놀즈 실험 번호는 2000-4000 범위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Reference
1- حقی آبی، ا. 1383. بررسی اثر شیب کف بر پروفیل سرعت جریان غلیظ رساله دکتری رشته سازه های آبی ، دانشکده مهندسی علوم آب، دانشگاه شهید چمران اهواز.
2- کاهه، م. قمشی، م. و س، ح، موسوی جهرمی، 1391. بررسی آزمایشگاهی سرعت پیشروی جریان غلیظ بر روی سطوح زبر. علوم و مهندسی آبیاری، 35(1): 101-110.
3- کشتکار، ش. ایوب زاده، س ع. و ب، فیروزآبادی، 1389 . بررسی پروفیل سرعت و غلظت جریان گل آلود با استفاده از مدل فیزیکی. پژوهشهای آبخیزداری،87(2): 43-36.
4- کوتی، ف. کاشفی پور، س، م. و م قمشی، 1391. تجزیه و تحلیل پروفیل های سرعت در جریان غلیظ. مجله ی علوم و فنون کشاورزی و منابع طبیعی، علوم آب و خاک، 59: 29-15.
5- Altinakar, M.S., Graf, W.H. and , E.J, Hopfinger. 1990. Weakly depositing turbidity current on a small slope.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28(1): 55-80.
6- Baas, J.H. McCaffrey, W.D. Haughton P.D.W. and C, Choux. 2005. Coupling between suspended sediment distribution and turbulence structure in a laboratory turbidity current. Journal of Geophysics Research, 110: 20-32.
7- Barahmand, N. and A, Shamsai. 2010.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study of density jumps on smooth and rough beds”. Lakes and Reservoirs: Research and Management, 15(4): 285-307.
8- Britter, R.E. and P, Linden. 1980.The motion of the front of a gravity current traveling down an incline. Journal of Fluid Mechanics, 99(3): 531- 543.
9- Buckee, C. Kneller, B. and J, Peakall. 2001. Turbulence structure in steady solute-driven gravity currents Blackwell Oxford pp, 173-188.
10- Choux, C.M.A. Baas, J.H. McCaffrey, W.D. and P.D.W, Haughton. 2005. Comparison of spatio–temporal evolution of experimental particulate gravity flows at two different initial concentrations based on velocity grain size and density data. Sedimentary Geology, 179: 49-69.
11- FathiMoghadam, M. TorabiPoudeh, H. Ghomshi, M. and M, Shafaei. 2008. The density current head velocity in expansion reaches. Lakes & Reservoirs: Research & Management, 13(1): 63-68.
12- Ghomeshi, M. 1995. Reservoir sedimentationmodeling. Ph.D. Thesis. University of Wollongong. Australia.
Graf, W.H. and M, S, Altinakar. 1998. Fluvial Hydraulics, Flow and Transport Processes in Channels of Simple Geometry. John Wiley and Sons, Ltd, England.
14- Ieong, K, K. Mok, K,M. and H, Yeh. 2006. Fluctuation of the front propagation speed of developed gravity current. Journal of Hydrodynamics, 18(3): 351-355.
15- LaRocca, M. Adduce, C. Sciortino, G. And A, B, Pinzon. 2008. Experimental and numerical simulation of three-dimensional gravity currents on smooth and rough bottom. Physics of Fluids, 20, 106603.
16- McCaffrey, W, D. Choux, C, M. Baas, J, H. And P, D, W, Haughton. 2003. Spatio-temporal evolution of velocity structure concentration and grainsize stratification within experimental particulate gravity currents.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20: 851-860.
17- Sequeiros, O, E. Spinewine, B. Beaubouef, R, T. Sun, T. Garcia, H. M., and G, Parker. 2010. Characteristics of Velocity and Excess Density Profiles of Saline Underflows and Turbidity Currents Flowing over a Mobile Bed”.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36(7): 167-180.
18- Turner, J, S. 1973. Buoyancy Effects in Flui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U.K, pp. 178-181.
19- Yu, W, S. Lee, H, Y. And M, S, Hsu. 2000. Experiments on deposition behavior of fine in a reservoir.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26(12): 912-920.
Numerical Simulation Test of Scour around Offshore Jacket Structure using FLOW-3D
J Korean Soc Coast Ocean Eng. 2015;27(6):373-381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5 December 31doi : https://doi.org/10.9765/KSCOE.2015.27.6.373Dong Hui Ko*, Shin Taek Jeong,**, Nam Sun Oh****Hae Poong Engineering Inc.**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Wonkwang University***Ocean·Plant Construction Engineering, Mokpo Maritime National University 고동휘*, 정신택,**, 오남선***
*(주)해풍기술**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목포해양대학교 해양·플랜트건설공학과
Abstract
해상풍력 기기, 해상 플랫폼과 같은 구조물이 해상에서 빈번하게 설치되면서 세굴에 관한 영향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세굴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세굴 수치모의 실험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수치모의 조건은 일방향 흐름에 대해서만 검토가 이뤄지고 있으며 서해안과 같은 왕복성 조류 흐름에 대해서는 검토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설치된 HeMOSU-1호 해상 자켓구조물 주변에서 발생하는 세굴 현상을 FLOW-3D를 이용하여 수치모의하였다. 해석 조건으로는 일방향 흐름과 조석현상을 고려한 왕복성 흐름을 고려하였으며, 이를 현장 관측값과 비교하였다. 10,000초 동안의 수치모의 결과, 일방향의 흐름 조건에서는 1.32 m의 최대 세굴심이 발생하였으며, 양방향 흐름 조건에서는 1.44 m의 최대 세굴심이 발생하였다. 한편, 현장 관측값의 경우 약 1.5~2.0 m의 세굴심이 발생하여 양방향의 흐름에 대한 해석 결과와 근사한 값을 보였다.
As offshore structures such as offshore wind and offshore platforms have been installed frequently in ocean, scour effects are considered important. To test the scour effect, numerical simulation of scour has been carried out. However, the test was usually conducted under the uni-directional flow without bi-directional current flow in western sea of Korea. Thus, in this paper, numerical simulations of scour around offshore jacket substructure of HeMOSU-1 installed in western sea of Korea are conducted using FLOW-3D. The conditions are 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flow considering tidal current. And these results are compared to measured data. The analysis results for 10,000 sec show that under uni-directional conditions, maximum scour depth was about 1.32 m and under bi-directional conditions, about 1.44 m maximum scour depth occurred around the structure. Meanwhile, about 1.5~2.0 m scour depths occurred in field observation and the result of field test is similar to result under bi-directional conditions.
1. 서 론
최근 해상풍력기기, 해상플랫폼과 같은 해상구조물 설치가 빈번해지면서 해상구조물의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에 대한 대응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해상에서의 구조물 설치는 육상과 달리 수력학적 하중이 작용하게 되기 때문에 파랑에 의한 구조물과의 진동, 세굴 현상에 대하여 철저한 사전 검토가 요구된다. 특히, 해상 기초에서 발생하는 세굴은 조류 및 파랑 등 유체 흐름과 구조물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해저 입자가 유실되는 현상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해상 외력 조건에 포함되어 설계시 고려하도록 제안하고 있다(IEC, 2009).구조물을 해상에 설치하게 되면 구조물이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여 구조물 주위에 부분적으로 더 빠른 유속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속 변화는 압력 분포 변화에 기인하게 되어 해양구조물 주위에 아래로 흐르는 유속(downflow), 말굽형 와류(horseshoe vortex) 그리고 후류 와류(wake vortex)가 나타난다. 결국, 유속과 흐름의 변화를 야기하고 하상전단응력과 유사이동 능력을 증가시켜 해저 입자를 유실시키며 구조물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세굴 현상이 계속 진행되면 해상풍력 지지구조물 기초의 지지력이 감소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지지면의 유실로 상부반력 작용에 편심을 유발하여 기초의 전도를 초래한다. 또한 세굴에 의한 기초의 부등 침하가 크게 발생하면 상부 해상풍력 지지구조물에 보다 큰 단면력이 작용하므로 세굴에 의한 붕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세굴은 기초지지구조물을 붕괴하고, 침하와 얕은 기초의 변형을 초래하며, 구조물의 동적 성능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시 사전에 세굴심도 산정, 세굴 완화 대책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또한 각종 설계 기준서에서는 세굴에 대해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 IEC(2009), ABS(2013), BSH(2007), MMAF(2005)에서는 세굴에 대한 영향을 검토할 것을 주문하지만 심도 산정 등 세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고 전반적인 내용만 수록하고 있다. 그러나 DNV(2010), CEM(2006)에서는 경험 공식을 이용한 세굴 심도 산정 등 구체적인 내용을 광범위하게 수록하고 있어 세굴에 대한 영향 검토시 활용가능하다. 그 외의 기준서에서는 수치 모델 등을 통한 세굴 검토를 주문하고 있어 사용자들이 직접 판단하도록 제안하고 있다.그러나 세굴은 유속, 수심, 구조물 폭, 형상, 해저입자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세굴의 영향 정도를 정확하게 예측하기란 쉽지 않지만 수리 모형 실험 또는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를 이용한 수치 해석을 통해 지반 침식 및 퇴적으로 인한 지형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침식과 퇴적 등 구조물 설치로 인한 해저 지형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Flowscience의 3차원 유동해석모델인 Flow-3D 모델을 사용하였다.해상 구조물은 목적에 따라 비교적 수심이 낮은 지역에 설치가 용이하다. 국내의 경우, 서남해안과 같이 비교적 연안역이 넓고 수심이 낮은 지역에 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이 비용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서남해안 지역은 왕복성 흐름, 즉 조류가 발생하는 지역으로 흐름의 방향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세굴 수치 모의시 이러한 왕복성 흐름을 고려해야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수치 모델 적용시 조류가 우세한 지역에서도 일방향의 흐름에 대해서만 검토하며 왕복성 흐름에 의한 지층의 침식과 퇴적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저 입자의 상호 보충 효과는 배제되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해 수치모델 결과에 많은 의구심이 발생하게 되며 현실성이 결여된 해석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왕복흐름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Kim and Gang(2011)은 조류의 왕복류 흐름을 고려하여 지반의 수리 저항 성능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양방향이 일방향 흐름보다 세굴이 크게 발생하는 것을 발표하였다. 또한 Kim et al.(2012)은 흐름의 입사각에 따른 수리저항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입사각이 커짐에 따라 세굴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에서는 단일방향 고정유속 그리고 양방향 변동유속조건에서 발생하는 지형 변화와 세굴 현상을 수치 모의하였으며, 이러한 비선형성 흐름변화에 따른 세굴 영향 정도를 검토하였다. 더불어 현장 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서남해안과 같은 왕복성 흐름이 발생하는 지역에서의 세굴 예측시 적절한 모델 수립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수치해석 모형
본 연구에서는 Autodesk의 3D ma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지구조물 형상을 제작하였으며, 수치해석은 미국 Flowscience가 개발한 범용 유동해석 프로그램인 FLOW-3D(Ver. 11.0.4.5)를 사용하였다. 좌표계는 직교 좌표계를 사용하였으며 복잡한 3차원 형상의 표현을 위하여 FAVOR 기법(Fractional Area/Volume Obstacle Representation Method)을 사용하였다. 또한 유한차분법에 FAVOR 기법을 도입한 유한체적법의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직교좌표계 에서 비압축성 유체의 3차원 흐름을 해석하기 위한 지배방정식으로는 연속방정식과 운동방정식이 사용되었다. 난류모형으로는 RNG(renormalized group)모델을 사용하였다.
2.1 FLOW-3D의 지배방정식
수식은 MathML 표현문제로 본 문서의 하단부의 원문바로가기 링크를 통해 원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1.1 연속방정식
직교좌표계 (x,y,z)에서 비압축성 유체는 압축성 유체의 연속방정식에서 유도될 수 있으며 다음 식 (1)과 같다.
(1)
∂∂x(uAx)+∂∂y(vAy)+∂∂z(wAz)=RSORρ∂∂x(uAx)+∂∂y(vAy)+∂∂z(wAz)=RSORρ 여기서, u, v, w는 (x,y,z) 방향별 유체속도, Ax, Ay, Az는 각 방향별 유체 흐름을 위해 확보된 면적비 (Area fraction), ρ는 유체 밀도, RSOR은 질량생성/소멸(Mass source/sink)항이다.
2.1.2 운동방정식
본 모형은 3차원 난류모형이므로 각각의 방향에 따른 운동량 방정식은 다음 식(2)~(4)와 같다.
ρVffz=wsz−{∂∂x(Axτxz)+R∂∂y(Ayτyz)+∂∂z(Azτzz)+ζx(Axτzz)}ρVffz=wsz−{∂∂x(Axτxz)+R∂∂y(Ayτyz)+∂∂z(Azτzz)+ζx(Axτzz)}여기서, wsx, wsy, wsz는 벽전단응력이며, 벽전단응력은 벽 근처에서 벽 법칙 (law of the wall)을 따르며, 식 (8)~(13)에 의해 표현되어진다.
Flow-3D 모델에서 사용하는 sediment scour model은 해저입자의 특성에 따라 해저 입자의 침식, 이송, 전단과 흐름 변화로 인한 퇴적물의 교란 그리고 하상 이동을 계산한다.
2.1.3.1 The critical Shields parameter
무차원 한계소류력(the dimensionless critical Shields parameter)은 Soulsby-Whitehouse 식에 의해 다음 식 (1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Soulsby, 1997).
(14)
θcr,i=0.31+1.2R∗i+0.055[1−exp(−0.02R∗i)]θcr,i=0.31+1.2Ri*+0.055[1−exp(−0.02Ri*)]여기서 무차원 상수, R∗iRi*는 다음 식 (15)와 같다.
(15)
R∗i=ds,i0.1(ρs,i−ρf)ρf∥g∥ds,i−−−−−−−−−−−−−−−−−−−√μfRi*=ds,i0.1(ρs,i−ρf)ρf‖g‖ds,iμf여기서 ρs, i는 해저 입자의 밀도, ρf는 유체 밀도, ds, i는 해저입자 직경, g는 중력가속도이다.한편, 안식각에 따라 한계소류력은 다음 식 (1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16)
θ′cr,i=θcr,icosψsinβ+cos2βtan2ψi−sin2ψsin2β−−−−−−−−−−−−−−−−−−−−√tanψiθcr,i′=θcr,icosψsinβ+cos2βtan2ψi−sin2ψsin2βtanψi여기서, β는 하상 경사각, ψi는 해저입자의 안식각, ψ는 유체와 해저경사의 사잇각이다.또한 local Shields number는 국부 전단응력, τ에 기초하여 다음 식 (17)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7)
θi=τ∥g∥ds,i(ρs,i−ρf)θi=τ‖g‖ds,i(ρs,i−ρf)여기서, ||g||g 는 중력 벡터의 크기이며, τ는 식 (8)~(13)의 벽 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2.1.3.2 동반이행(Entrainment)과 퇴적
다음 식은 해저 지반과 부유사 사이의 교란을 나타내는 동반이행과 퇴적 현상을 계산한다. 해저입자의 동반이행 속도의 계산식은 다음 식 (18)과 같으며 부유사로 전환되는 해저의 양을 계산한다.
(18)
ulift,i=αinsd0.3∗(θi−θ′cr,i)1.5∥g∥ds,i(ρs,i−ρf)ρf−−−−−−−−−−−−−−√ulift,i=αinsd*0.3(θi−θcr,i′)1.5‖g‖ds,i(ρs,i−ρf)ρf여기서, αi는 동반이행 매개변수이며, ns는 the packed bed interface에서의 법선벡터, µ는 유체의 동점성계수 그리고 d*은 무차원 입자 직경으로 다음 식 (19)와 같다.
(19)
d∗=ds,i[ρf(ρs,i−ρf)∥g∥μ2]1/3d*=ds,i[ρf(ρs,i−ρf)‖g‖μ2]1/3또한 퇴적 모델에서 사용하는 침강 속도 식은 다음 식 (20)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하상이동 모델은 해저면에 대한 단위 폭당 침전물의 체적흐름을 예측하는데 사용되며 다음 식 (21)과 같이 표현되어진다.
(21)
Φi=βi(θi−θ′cr,i)1.5Φi=βi(θi−θcr,i′)1.5여기서 Φi는 무차원 하상이동률이며 βi는 일반적으로 8.0의 값을 사용한다(van Rijn, 1984).단위 폭당 체적 하상이동률, qi는 다음 식 (2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2)
qb,i=fb,i Φi[∥g∥(ρs,i−ρfρf)d3s,i]1/2qb,i=fb,i Φi[‖g‖(ρs,i−ρfρf)ds,i3]1/2여기서, fb, i는 해저층의 입자별 체적률이다.또한 하상이동 속도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 식 (23)에 의해 해저면층 두께를 계산할 수 있다.
(23)
δi=0.3ds,id0.7∗(θiθ′cr,i−1)0.5δi=0.3ds,id*0.7(θiθcr,i′−1)0.5그리고 하상이동 속도 식은 다음 식 (24)와 같이 계산되어진다.
Fig. 1.Iso-water depth contour map in western sea of Korea.
본 해석 대상 해역은 서해안의 조석 현상이 뚜렷한 지역으로 조류 흐름이 지배적이며 위도의 조화분석의 결과를 보면 조석형태수가 0.21로서 반일주조 형태를 취한다. 또한 북동류의 창조류와 남서류의 낙조류의 특성을 보이며 조류의 크기는 대상 영역에서 0.7~1 m/s의 최강유속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발표된 바 있다. 또한 대상 해역의 시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저조건은 0.0353 mm 로 설정하였고(KORDI, 2011), 수위는 등수심도를 바탕으로 15 m로 하였다.한편, 풍황자원 분석을 통한 단지 세부설계 기초자료 제공, 유속, 조류 등 해양 환경변화 계측을 통한 환경영향평가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Fig. 2와 같이 해상기상탑(HeMOSU-1호)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HeMOSU-1호는 평균해수면 기준 100 m 높이이며, 중량은 100 톤의 자켓구조물로 2010년 설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HeMOSU-1호의 제원을 활용하여 수치 모의하였으며, 2013년 7월(설치 후 약 3년 경과) 현장 관측을 수행하였다.
Fig. 2.A photo of HeMOSU-1.
2.2.2 모델 구성
본 연구에서는 왕복성 조류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2 case에 대하여 해석하였다. 먼저, Case 1은 1 m/s의 고정 유속을 가진 일방향 흐름에 대한 해석이며, Case 2는 -1~1 m/s의 유속분포를 가진 양방향 흐름에 대한 해석이다. 여기서 (-)부호는 방향을 의미한다. Fig. 3은 시간대별 유속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Fig. 3.Comparison of current speed conditions.
2.2.3 구조물 형상 및 격자
HeMOSU-1호 기상 타워 자켓 구조물 형상은 Fig. 4, 격자 정보는 Table 1과 같으며, 본 연구에서는 총 2,883,000 개의 직교 가변 격자체계를 구성하였다.
계산영역의 경계 조건으로, Case 1의 경우, 유입부는 유속 조건을 주었으며 유출부는 outflow 조건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Case 2의 경우, 왕복성 흐름을 표현하기 위해 유입부와 유출부 조건을 유속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2가지 경우 모두 상부는 자유수면을 표현하기 위해 pressure로 하였으며 하부는 지반 조건의 특성을 가진 wall 조건을 적용하였다. 양측면은 Symmetry 조건으로 대칭면으로 정의하여 대칭면에 수직한 방향의 에너지와 질량의 유출입이 없고 대칭면에 평행한 방향의 유동저항이 없는 경우로 조건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케이스별 입력 조건을 다음 Table 2에 정리하였다.
Table 2.
Basic information of two scour simulation tests
Case
Structure type
Velocity
Direction
Analysis time
Case 1
Jacket
1 m/s
Unidirectional
10,000 sec
Case 2
−1~1 m/s
Bidirectional
FLOW-3D는 자유표면을 가진 유동장의 계산에서 정상상태 해석이 불가능하므로 비정상유동 난류해석을 수행하게 되는데 정지 상태의 조건은 조위를 설정하였다. 또한 유속의 초기 흐름은 난류상태의 비정상흐름이 되므로 본 해석에서는 정상상태의 해석 수행을 위해 1,000초의 유동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후에 10,000초의 sediment scour 모델을 수행하였다. 해수의 밀도는 1,025 kg/m3의 점성유체로 설정하였으며 RNG(renormalized group) 난류 모델을 적용하였다.Go to :
3. 수치모형 실험 결과
3.1 Case 1
본 케이스에서는 1 m/s의 유속을 가진 흐름이 구조물 주변을 흐를 때, 발생하는 세굴에 대해서 수치 모의하였다. Fig. 6은 X-Z 평면의 유속 분포도이고 Fig. 7은 X-Y 평면의 유속 분포이다. 구조물 주변에서 약간의 유속 변화가 발생했지만 전체적으로 1 m/s의 정상 유동 상태를 띄고 있다.
Fig. 6.Current speed distribution in computational domain of case 1 at t = 10,000 sec (X–Z plane).
Fig. 7.Current speed distribution in computational domain of case 1 at t = 10,000 sec (X–Y plane).
이러한 흐름과 구조물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세굴 현상이 발생되며 Fig. 8에 구조물 주변 지형 변화를 나타내었다. 유속이 발생하는 구조물의 전면부는 대체로 침식이 일어나 해저지반이 초기 상태보다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전면부의 지반이 유실되어 구조물 후면부에 최대 0.13 m까지 퇴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8.Sea-bed elevation change of case 1 at t = 10,000 sec.
일방향 흐름인 Case 1의 경우에는 Fig. 9와 같이 10,000초 후 구조물 주변에 최대 1.32 m의 세굴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물 뒤쪽으로는 퇴적이 일어났으며, 구조물 전면부에는 침식작용이 일어나고 있다.
Fig. 9.Scour phenomenon around jacket substructure(Case 1).
3.2 Case 2
서해안은 조석현상으로 인해 왕복성 조류 흐름이 나타나고 있으며 대상해역은 -1~1 m/s의 유속분포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왕복성 흐름에 대해서 수치모의하였다.다음 Fig. 10은 X-Z 평면의 유속 분포도이며 Fig. 11은 X-Y 평면의 유속 분포도이다.
Fig. 10.Current speed distribution in computational domain of case 2 at t = 10,000 sec (X–Z plane).
Fig. 11.Current speed distribution in computational domain of case 2 at t = 10,000 sec (X–Y plane).
양방향 흐름인 Case 2의 경우에는 Fig. 12와 같이 10,000초후 구조물 주변에 최대 1.44 m의 세굴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구조물 내부에 조류 흐름 방향으로 침식 작용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12.Sea-bed elevation change of case 2 at t = 10,000 sec.
Fig. 13.Scour phenomenon around jacket substructure(Case 2).
3.3 현장 관측
본 연구에서는 수치모의 실험의 검증을 위해 HeMOSU-1호 기상 타워를 대상으로 하여 2013년 7월 1일 수심 측량을 실시하였다.HeMOSU-1호 주변의 수심측량은 Knudsen sounder 1620과 미국 Trimble사의 DGPS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매 작업시 Bar-Check를 실시하고, 수중 음파속도는 1,500 m/s로 결정하여 조위 보정을 통해 수심을 측량하였다. 측량선의 해상위치자료는 DGPS를 사용하여 UTM 좌표계로 변환을 실시하였다. 한편, 수심측량은 해면이 정온할 때 실시하였으며 관측 자료의 변동성을 제거하기 위해 2013년 7월 1일 10시~13시에 걸쳐 수심 측량한 자료를 동시간대에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한 위도 자료를 활용해 조위 보정하였다. 다음 Fig. 14는 위도 조위 관측소의 현장관측시간대 조위 시계열 그래프이다.
Fig. 14.Time series of tidal data at Wido (2013.7.1).
2013년 7월 1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에 걸쳐 수심측량한 결과를 이용하여 0.5 m 간격으로 등수심도를 작성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15와 같다. 기상탑 내부 해역은 선박이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측량을 실시하지 않고 Blanking 처리하였다.
Fig. 15.Iso-depth contour map around HeMOSU-1.
대상 해역의 수심은 대부분 -15 m이나 4개의 Jacket 구조물 주변에서는 세굴이 발생하여 수심의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L-3, L-4 주변에서 최대 1.5~2.0 m의 세굴이 발생한 것으로 보였으며, L-4 주변에서는 넓은 범위에 걸쳐 세굴이 발생하였다. 창조류는 북동, 낙조류는 남서 방향으로 흐르는 조류 방향성을 고려하였을 때, L-4 주변은 조류방향과 동일하게 세굴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보다 상세한 세굴형태는 원형 구조물 내부 방향의 세굴 심도를 측정하여 파악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관측결과 최대 1.5~2.0 m인 점을 고려하면 양방향 흐름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 모의실험을 진행하는 경우, 실제 현상에 더 근접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Go to :
4. 결론 및 토의
본 연구에서는 자켓구조물인 해상기상탑 HeMOSU-1 주변에서 발생하는 세굴현상을 검토하기 위하여 2013년 7월 1일 현장 관측을 수행하고, FLOW-3D를 이용하여 수치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조건으로는 먼저 1 m/s의 유속을 가진 일방향 흐름과 -1~1 m/s의 흐름 분포를 가진 왕복성 흐름에 대해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일방향 흐름의 경우, 10,000 초에 이르렀을 때 1.32 m, 왕복성 흐름의 경우 동일 시간에서 1.44 m의 최대 세굴심도가 발생하였다. 동일한 구조물에 대해서 현장 관측 결과는 1.5~2.0 m로 관측되어 일방향 흐름보다 왕복성 흐름의 경우 실제 현상에 더 근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일방향 흐름의 경우, Fig.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조물 후면에 퇴적과 함께 해저입자의 맞물림이 견고해져 해저 지반의 저항력이 커지는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양방향 흐름의 경우, 흐름의 변화로 인해 맞물림이 약해지고 이로 인해 지반의 저항력이 일방향 흐름보다 약해져 세굴이 더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또한 장시간에 걸쳐 모델링을 수행하는 경우, 보다 근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을 사료되며, 신형식 기초 구조물을 개발하여 세굴을 저감할 수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Go to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2009). IEC 61400-3: Wind turbines – Part 3: Design Requirements for Offshore Wind Turbines, Edition 1.0, IEC.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인 “승강식 해상플랫폼을 가진 수직 진자운동형 30kW급 파력발전기 개발(과제번호 :20133010071570)”와 첨단항만건설기술개발사업인 “해상풍력 지지구조 설계기준 및 콘크리트 지지구조물 기술 개발(과제번호:20120093)”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Go to :
References
American Bureau of Shipping (ABS). (2013). Guide for Building and Classing Bottom-Founded Offshore Wind turbine Installations.
API RP 2A WSD. (2005). Recommended Practice for Planning, Designing and Constructing Fixed Offshore Platforms-Working Stress Design, API.
Det Norske Veritas (DNV). (2010). OS-J101 Design of Offshore Wind Turbine Structures.
Federal Maritime and Hydrographic Agency (BSH). (2007). Standard. Design of Offshore Wind Turbines.
FLOW SCIENCE. (2014). FLOW-3D User’s Manual, Version 11.0.4.5.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2009). IEC 61400-3: Wind turbines – Part 3: Design Requirements for Offshore Wind Turbines, Edition 1.0, IEC.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2007). ISO 19902: Petroleum and Natural Gas Industries – Fixed Steel Offshore Structures.
Kim, YS, Kang, GO. (2011). Experimental Study on Hydraulic Resistance of Sea Ground Considering Tidal Current Flow,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3(1):118-125 (in Korean). Kim, YS, Han, BD, Kang, GO. (2012). Effect of Incidence Angle of Current on the Hydraulic Resistance Capacity of Clayey Soi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4(1):26-35 (in Korean). KORDI. (2011). BSPN64710-2275-2. An Analysis on the Marine Characteristics and Design Supporting for Offshore Wind Power Plant (in Korean).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2005). Harbor and fishery design criteria (in Korean).
Soulsby, R. (1997). Dynamics of marine sands. Thomas Telford Publications, London.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6). Coastal Engineering Manual, Part II : Coastal Hydrodynamics, Chapter II–2, Meteorology and Wave Climate.
van Rijn, L. (1984). Sediment transport, Part II:bed load transport,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10(10):1431-1456.
알루미늄 리본과 구리 시트의 레이저 용접에 대한 조사 : 용접성, 미세 구조,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
Won‐Sang Shin 1,†, Dae‐Won Cho 2,†, Donghyuck Jung 1, Heeshin Kang 3, Jeng O Kim 3, Yoon‐Jun Kim 1,* and Changkyoo Park 3,*
Al 리본과 Cu 시트의 펄스 레이저 용접은 전력 전자 모듈의 전기적 상호 연결에 대해 조사되었습니다. 결함 없는 Al / Cu 조인트를 얻기 위해 레이저 출력, 스캔 속도 및 열 입력이 서로 다른 다양한 실험 조건이 사용되었습니다. Al / Cu 레이저 용접 중에 금속 간 화합물이 용접 영역에 형성되었습니다. 전자 탐침 마이크로 분석기와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Al4Cu9, Al2Cu, AlCu 등으로 밝혀진 금속 간 화합물의 상을 확인했습니다. 전산 유체 역학 시뮬레이션은 Marangoni 효과가 용융 풀의 순환을 유도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l과 Cu의 결합과 Al / Cu 조인트에서 소용돌이 모양의 구조 형성. Al / Cu 접합부의 인장 전단강도와 전기 저항을 측정하였으며 용접 면적과 강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Al / Cu 접합부의 용접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기계적 강도의 감소와 전기 저항의 증가가 측정 되었습니다. 또한 무결점 Al / Cu 접합을 위한 공정 창을 개발하고 Al / Cu 레이저 브레이즈 용접을 위한 실험 조건을 조사하여 Al / Cu 접합에서 금속 간 화합물 형성을 최소화했습니다.
Introduction
전기 상호 연결은 전력 전자 모듈을 패키징하는 데 중요합니다. 우수한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을 가진 견고한 전기적 상호 연결은 전력 전자 모듈의 전기적 고장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저항 스폿 용접, 브레이징, 납땜 및 초음파 용접 (USW)이 전기 상호 연결에 사용되었습니다.
납땜과 납땜 모두 저온 공정으로 인해 접합부에서 한계 변형과 잔류 응력이 발생합니다 [1]. 필러 합금은 두 공정 모두 견고한 전기 접촉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조인트는 서로 접촉하는 서로 다른 금속으로 구성됩니다.
결과적으로 조인트는 부식 환경에서 갈바닉 부식에 취약 할 수 있습니다 [2,3]. 더욱이, 비금속과 충전재 사이의 친화도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제한된 충전재 만 특정 조인트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USW는 용접 온도가 낮고 용접 시간이 짧기 때문에 접합부의 변형이 비교적 적습니다.
따라서 이는 특히 연질 재료 (예 : Al, Cu, Ag, Au 및 Ni)의 경우 기존 접합 방법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4–6]. 그러나 Cu를위한 USW 공정의 경우, 표면 산화물이 강해 용접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Cu 표면에 Sn 또는 Ni 코팅이 필요하며, 이는 공정 속도를 늦추고 산업적 응용을위한 경제적 측면을 악화시킨다 [7 , 8].
레이저 용접은 쉬운 제어, 고정밀 및 원격 처리의 특성으로 인해 전력 전자 모듈의 전기 연결에 대한 유망한 후보입니다. 열의 영향을 받는 작은 영역과 변형은 전기 접점의 손상을 최소화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9-11]. 또한 레이저 용접을 위해 추가 표면 준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종 재료의 용접은 산업 응용 분야에서 중요했습니다. 더욱이 그림 1 [12,13]에서 볼 수 있듯이 전기 연결을위한 와이어 또는 리본 본딩에 여러 다른 조인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전력 전자 모듈에서 필수적인 기술이되고 있습니다.
전기 접점의 다양한 조합 중에서 Al과 Cu는 높은 전기 전도성으로 인해 전기 연결에 중요한 재료로 종종 간주됩니다 [14]. 그러나 Al과 Cu의 서로 다른 용접은 금속 간 화합물 (IMC)의 형성을 촉진하고 동시에 Al / Cu 조인트의 기계적 및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Al / Cu 조인트 내부에 IMC가 있으면 연성 및 전기 저항에 해를 끼치므로 균열이 쉽게 발생하고 용접을 통한 전기 전도도를 방해합니다 [15,16].
따라서 견고한 Al / Cu 조인트를 얻으려면 IMC의 형성을 피해야합니다. 여러 연구에서 Al 및 Cu 시트의 레이저 빔 용접을 조사했습니다. 연속파 (CW) 레이저가 Al / Cu 조인트에 사용되었습니다 [17-23]. 큰 열 입력과 상당한 IMC 형성으로 인해 용접 영역에서 많은 균열이 관찰되었습니다 [18,19].
CW 레이저 빔의 공간 진동은 Al / Cu 조인트의 용접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직선 CW 레이저 빔 [18-20]과 비교하여 용접 영역에서 IMC 크기가 더 작은 기공과 균열이 더 적습니다.
Al과 Cu 시트의 겹침 접합에는 CW 단일 모드 파이버 레이저를 사용했으며, IMC 형성을 억제하여 높은 용접 속도 (즉, 50m / min)에서 견고한 Al / Cu 접합을 얻었습니다 [22]. Mai et al. [23]은 다른 Al / Cu 용접을 달성하기 위해 펄스 레이저를 사용했습니다.
그들은 Al / Cu 용접성이 레이저 공정 매개 변수에 크게 의존한다는 것을 밝혔으며 100mm / min 미만의 스캔 속도에서 균열없는 Al / Cu 접합을 달성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본문 내용 생략 : 문서 하단부의 원문보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ferences
Schwartz, M.M.; Aircraft, S. Introduction to Brazing and Soldering. ASM Int. 2018, 6, doi.org/10.31399/asm.hb.v06.a0001344.
Vianco, P.T. Corrosion issues in solder joint design and service. Weld. J. 1999, 78, 39–46.
Shi, Y.; Li, J.; Zhang, G.; Huang, J.; Gu, Y. Corrosion Behavior of Aluminum‐Steel Weld‐Brazing Joint. J. Mater. Eng. Perform. 2016, 25, 1916–1923, doi:10.1007/s11665‐016‐2020‐9.
Harman, G.G. Wire Bonding in Microelectronics: Materials, Processes, Reliability and Yield, 3rd ed; McGraw‐Hill Education: New York, NY, USA, 2010; ISBN 9780071642651.
Aonuma, M.; Nakata, K. Dissimilar metal joining of ZK60 magnesium alloy and titanium by friction stir welding. Mater. Sci. Eng. B Solid State Mater. Adv. Technol. 2012, 177, 543–548, doi:10.1016/j.mseb.2011.12.031.
Sasaki, T.; Watanabe, T.; Hosokawa, Y.; Yanagisawa, A. Analysis for relative motion in ultrasonic welding of aluminium sheet. Sci. Technol. Weld. Jt. 2012, 18, 19–24, doi:10.1179/1362171812Y.0000000066.
Maeda, M.; Sato, T.; Inoue, N.; Yagi, D.; Takahashi, Y. Anomalous microstructure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copper ribbon and tin‐deposited copper plate by ultrasonic bonding. Microelectron. Reliab. 2011, 51, 130–136, doi:10.1016/j.microrel.2010.05.009.
Maeda, M.; Yagi, D.; Takahashi, Y. Interfacial microstructure between copper ribbon and nickel‐coated copper plate formed by ultrasonic bonding. Q. J. Jpn. Weld. Soc. 2013, 31, 188–191, doi:10.2207/qjjws.31.188s.
Sun, Z.; Ion, J.C. Laser welding of dissimilar metal combinations. J. Mater. Sci. 1995, 30, 4205–4214, doi:10.1007/BF00361499.
Mehlmann, B.; Gehlen, E.; Olowinsky, A.; Gillner, A. Laser micro welding for ribbon bonding. Phys. Procedia 2014, 56, 776–781, doi:10.1016/j.phpro.2014.08.085.
Nwanoro, K.C.; Lu, H.; Yin, C.; Bailey, C. An analysis of the reliability and design optimization of aluminium ribbon bonds in power electronics modules using computer simulation method. Microelectron. Reliab. 2018, 87, 1–14, doi:10.1016/j.microrel.2018.05.013.
Li, H.; Cao, B.; Yang, J.W.; Liu, J. Modeling of resistance heat assisted ultrasonic welding of Cu‐Al joint. J. Mater. Process. Technol. 2018, 256, 121–130, doi:10.1016/j.jmatprotec.2018.02.008.
Davis, J.R. Copper and Copper Alloys. In ASM Speciality Handbook; ASM International: Almere, The Netherlands, 2001; ISBN 2001022956
Rabkin, D.M.; Ryabov, V.R.; Lozovskaya, A.V.; Dovzhenko, V.A.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opper‐aluminum intermetallic compounds. Sov. Powder Metall. Met. Ceram. 1970, 9, 695–700, doi:10.1007/BF00803820.
Chen, C.Y.; Chen, H.L.; Hwang, W.S. Influence of interfacial structure development on the fracture mechanism and bond strength of aluminum/copper bimetal plate. Mater. Trans. 2006, 47, 1232–1239, doi:10.2320/matertrans.47.1232.
Schmidt, P.A.; Schweier, M.; Zaeh, M.F. Joining of lithium‐ion batteries using laser beam welding: Electrical losses of welded aluminum and copper joints. J. Laser Appl. 2012, 915, doi:10.2351/1.5062563.
Smith, S.; Blackburn, J.; Gittos, M.; De Bono, P.; Hilton, P. Welding of dissimilar metallic materials using a scanned laser beam. J. Laser Appl. 2013, 493, doi:10.2351/1.5062921.
Solchenbach, T.; Plapper, P.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laser braze‐welded aluminium‐copper connections. Opt. Laser Technol. 2013, 54, 249–256, doi:10.1016/j.optlastec.2013.06.003.
Kraetzsch, M.; Standfuss, J.; Klotzbach, A.; Kaspar, J.; Brenner, B.; Beyer, E. Laser Beam Welding with High‐Frequency Beam Oscillation: Welding of Dissimilar Materials with Brilliant Fiber Lasers. Phys. Procedia 2011, 12, 142–149, doi:10.1016/j.phpro.2011.03.018.
Solchenbach, T.; Plapper, P.; Cai, W. Electrical performance of laser braze‐welded aluminum‐copper interconnects. J. Manuf. Process. 2014, 16, 183–189, doi:10.1016/j.jmapro.2013.12.002.
Lee, S.J.; Nakamura, H.; Kawahito, Y.; Katayama, S. Effect of welding speed on micro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aser lap weld joints in dissimilar Al and Cu sheets. Sci. Technol. Weld. Jt. 2014, 19, 111–118, doi:10.1179/1362171813Y.0000000168.
Mai, T.A.; Spowage, A.C. Characterisation of dissimilar joints in laser welding of steel‐kovar, copper‐steel and copper‐ aluminium. Mater. Sci. Eng. A 2004, 374, 224–233, doi:10.1016/j.msea.2004.02.025.
Zhang, G.; Takahashi, Y.; Heng, Z.; Takashima, K.; Misawa, K. Ultrasonic weldability of al ribbon to cu sheet and the dissimilar joint formation mode. Mater. Trans. 2015, 56, 1842–1851, doi:10.2320/matertrans.M2015251.
Zhu, B.; Zhen, L.; Xia, H.; Su, J.; Niu, S.; Wu, L.; Tan, C.; Chen, B. Effect of the scanning path on the nanosecond pulse laser welded Al/Cu lapped joint. Opt. Laser Technol. 2021, 139, 106945, doi.org/10.1016/j.optlastec.2021.106945.
Kumar, A.; Gupta, M.P.; Banerjee, J.; Neogy, S.; Keskar, N.; Bhatt, R.B.; Behere, P.G.; Biswas, D.J. Micro‐Welding of Stainless Steel and Copper Foils Using a Nano‐Second Pulsed Fiber Laser. Lasers Manuf. Mater. Process. 2019, 6, 158–172, doi.org/10.1007/s40516‐019‐00088‐w.
Trinh, L.N.; Lee, D. The Characteristics of Laser Welding of a Thin Aluminum Tab and Steel Battery Case for Lithium‐Ion Battery. Metals 2020, 10, 842, doi.org/10.3390/met10060842.
Cho, D.W.; Park, J.H.; Moon, H.S. A study on molten pool behavior in the one pulse one drop GMAW proces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Int. J. Heat Mass Transf. 2019, 139, 848–859, doi:10.1016/j.ijheatmasstransfer.2019.05.038.
Cho, W.I.; Na, S.J.; Cho, M.H.; Lee, J.S. Numerical study of alloying element distribution in CO2 laser‐GMA hybrid welding. Comput. Mater. Sci. 2010, 49, 792–800, doi:10.1016/j.commatsci.2010.06.025.
Cho, D.W.; Kiran, D.V.; Na, S.J. Analysis of molten pool behavior by flux‐wall guided metal transfer in low‐current submerged arc welding process. Int. J. Heat Mass Transf. 2017, 110, 104–112, doi:10.1016/j.ijheatmasstransfer.2017.02.060.
Cho, W.‐I.; Na, S.‐J. Impact of Wavelengths of CO2, Disk, and Green Lasers on Fusion Zone Shape in Laser Welding of Steel. J. Weld. Jt. 2020, 38, 235–240, doi:10.5781/jwj.2020.38.3.1.
Sim, A.; Chun, E.J.; Cho, D.W. Numerical Simulation of Surface Softening Behavior for Laser Heat Treated Cu‐Bearing Medium Carbon Steel. Met. Mater. Int. 2020, 26, 1207–1217, doi:10.1007/s12540‐019‐00577‐9.
Jarwitz, M.; Fetzer, F.; Weber, R.; Graf, T. Weld seam geometry and electrical resistance of laser‐welded, aluminum‐copper dissimilar joints produced with spatial beam oscillation. Metals 2018, 8, 510, doi:10.3390/met8070510.
Weigl, M.; Albert, F.; Schmidt, M. Enhancing the ductility of laser‐welde copper‐aluminum connections by using adapted filler materia. Phys. Procedia 2011, 12, 335–341, doi:10.1016/j.phpro.2011.03.141.
Chen, J.; Lai, Y.S.; Wang, Y.W.; Kao, C.R. Investigation of growth behavior of Al‐Cu intermetallic compounds in Cu wire bonding. Microelectron. Reliab. 2011, 51, 125–129, doi:10.1016/j.microrel.2010.09.034.
Chen, H.; Yang, L.; Long, J. First‐principles investigation of the elastic, Vickers hardness and thermodynamic properties of Al‐ Cu intermetallic compounds. Superlattices Microstruct. 2015, 79, 156–165, doi:10.1016/j.spmi.2014.11.005.
Liu, H.J.; Shen, J.J.; Zhou, L.; Zhao, Y.Q.; Liu, C.; Kuang, L.Y. Microstructural characteris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riction stir welded joints of aluminium alloy to copper. Sci. Technol. Weld. Jt. 2011, 16, 92–99, doi:10.1179/1362171810Y.0000000007.
Hug, E.; Bellido, N. Brittleness study of intermetallic (Cu, Al) layers in copper‐clad aluminium thin wires. Mater. Sci. Eng. A 2011, 528, 7103–7106, doi:10.1016/j.msea.2011.05.077.
Braunović, M.; Alexandrov, N. Intermetallic Compounds At Aluminum‐To‐Copper Electrical Interfaces: Effect of Temperature And Electric Current. IEEE Trans. Compon. Packag. Manuf. Technol. Part A 1994, 17, 78–85, doi:10.1109/95.296372.
Lee, W.B.; Bang, K.S.; Jung, S.B. Effects of intermetallic compound on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riction welded Cu/Al bimetallic joints during annealing. J. Alloys Compd. 2005, 390, 212–219, doi:10.1016/j.jallcom.2004.07.057.
연구자 : Yu-Ren Chen 지도교수 : Dr John R C Hsu June 2012
기술과 수치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파도가 해양이나 항만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개발되었으며,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고효율 수치 계산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내부 파 생성, 전송, 파동의 물리적 메커니즘은 국내외 해양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 연구는 FLOW-3D 전산 유체 역학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층의 담수와 하층의 담수를 시뮬레이션합니다. 바닷물의 밀도 계층화 유체는 중력 혼합 붕괴 방식을 사용하여 내부 파도를 생성하고 긴 경사와 같은 일반적인 장애물을 통해 파형 진화 및 유동장 분포를 탐구합니다.
짧은 플랫폼 사다리꼴 경사와 이등변 삼각형. 이 기사에서는 또한 소프트웨어 작동 설정과 FLOW-3D를 내부 파 실험에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이전 실험 조건과 결과를 참조하여 내부 파 전송 과정을 시뮬레이션합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실험 데이터를 확인하고 첫 번째 분석을 시뮬레이션합니다.
중력 붕괴 방식의 게이트의 개방 속도가 내부 파의 전송 시간 및 진폭에 미치는 영향; 시뮬레이션 결과는 게이트 개방 속도가 빠르고 내부 파의 진폭이 크고 전송 속도가 빠릅니다. ; 반대로 게이트 개방 속도가 느리면 내부 파의 진폭이 작고 전송 속도가 느리지 만 둘 다 비선형 비례 관계.
이 연구는 또한 다양한 장애물 (긴 기울기, 사다리꼴 기울기가있는 짧은 플랫폼, 이등변 삼각형)을 통한 내부 고독 파의 전송 과정을 시뮬레이션하고 단일 장애물을 통과하는 내부 파도의 파형 진화, 와류 및 유동장 변화를 논의합니다.
연구를 통해 우리가 매우 미세한 그리드를 사용하고 수치 시뮬레이션의 그래픽 출력을 열심히 분석 할 수 있다면 실험실 실험 관찰보다 내부 고독 파의 전송 특성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요약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두 유체의 계면에있는 파동을 계면 파라고합니다. 바다에서는 표층의 기압 변화에 의해 형성된 바람 장이 공기와 바다의 경계 파인 해면에 불어 올 때 변동을 일으킨다. 기체 또는 유체의 밀도 층화가 발생할 때 외부 힘 (예 : 바람, 압력, 파도 및 조류, 중력 등)에 의해 교란되면 내부 파도라고하는 경계면에서 변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내부 파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웨이브는 밀도가 다른 층화 된 유체의 웨이브 현상입니다.
대기의 내부 파도와 같이 일상 생활에서 볼 수있는 내부 파도는 특히 오후 또는 비가 내리기 전에 깊고 얕은 altocumulus 구름 층으로 하늘에 자주 나타납니다. 대기 중의 내부 파의 움직임은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주어 기류를 상승시키고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축되어 구름이되도록합니다.
반대로 기류가 가라 앉으면 수증기가 응결이 쉽지 않습니다. 구름이 있어도 내부의 파도가 응결하기 어렵습니다. 소산되어 루버와 같은 altocumulus 구름을 형성합니다. 안정된 밀도와 층화 상태의 자연 수체는 외부 세계에 의해 교란 될 때 내부 파동 운동을 겪게됩니다.
예를 들어, 밀도가 안정되고 층화가 분명한 호수에서 바람 장은 수면에 파도에서 파생 된 내부 파동을 일으켜 물의 질량이 전달되고 호수 가장자리로 물이 축적되어 수위가 높아집니다. 위치 에너지를 형성하는 축적 영역; 수역이 가라 앉기 시작하면 위치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로 변환하고 남미 콜롬비아의 Babine Lake의 내부 파동 거동과 같은 내부 파동 운동을 생성 할 수도 있습니다 (Farmer, 1978). ). 염분, 밀도 또는 온도가 안정된 바다에서는 조수와 지형의 영향으로 수역이 행성의 중력에 따라 움직입니다.
격렬한 기복이있는 지형을 통과 할 때 내부 파동이 발생합니다. ; 중국 해에서 발견되는 남쪽 내부 파도에서와 같이 (Hsu et al., 2000). 파동은 심해에서 얕은 물로 전달되며, 얕아 짐, 깨짐, 혼합, 소용돌이, 굴절, 회절 및 반사가있을 것입니다. 내부 파 전달은 일종의 파동이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 한 파동 특성도 갖습니다.
해양 내부 파도는 길이가 수백 미터에서 수십 킬로미터에 이르는 광범위한 파장을 가지고 있으며,주기는 몇 분 정도 빠르며 수십 시간 정도 느리며 진폭은 몇 미터에서 수백 미터. 해양 내부 파도가 움직일 때 층화 위와 아래의 물 흐름 방향이 반대가되어 현재 전단 작용으로 인해 층화 경계면에서 큰 비틀림 힘이 발생합니다.
바다에 기초 말뚝과 같은 구조물이있는 경우 석유 시추 플랫폼의 고정 케이블은 큰 비틀림을 견딜 수 없어 파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Bole et al. 1994). 빽빽한 클라인 경계 근처에서 항해하는 잠수함이 해양 내부 파도 활동을 만나게되면 내부 파도에 의한 상승 전류로 인해 잠수함이 해저에 수면에 닿거나 충돌하여 잠수함이 손상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다의 내부 파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매우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예를 들어, 내부 파가 심해 지역에서 근해 대륙붕으로 전달되면 상하수 체가 교환됩니다. 해저에 영양분을 운반합니다. 선반 가장자리까지 생물학적 성장을 촉진하고 해당 지역의 생태 환경을 조절하며 (Osborne and Bruch et al., 1980; Sandstorm and Elliot et al., 1984) 어업 자원을 풍부하게합니다.
위에서 언급 한 항목 외에도 해저에 대한 케이블 및 파이프 라인, 수중 음파 탐지기, 해양 생물 환경, 군사 활동 등이 해양 내부 파도의 영향에 포함되므로 해양 내부 파도에 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합니다.
최근 내부 파를 연구하는 방법에는 분석 이론 도출, 현장 조사 및 관찰, 실험실 실험 분석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 발전과 발전, 컴퓨터의 대중화, 수치 계산 방법의 진화로 해양 공학과 관련된 많은 파동 효과는 일반적으로 수치 시뮬레이션 방법으로 해결됩니다.
또한 수치 연산 방법의 비용이 현장 조사 관측 및 실험실 실험 해석보다 저렴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더 빨리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전산 유체 역학 (전산 유체 역학, 참조)의 FLOW-를 선정 하였다. 3D 소프트웨어는 내부 파 생성, 전송, 장애물 통과, 점차 소멸하는 움직임 과정을 시뮬레이션하고, 내부 파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비교하기 위해 이전 실험실 모델 실험을 참조합니다.
Apel, J.R., Holbrook, J.R, Tsai, J. and Liu, A.K. (1985). The Sulu Sea internal soliton experiment. J. Phys. Oceanography, 15(12): 1625-1651. Ariyaratnam, J. (1998). Investigation of slope stability under internal wave action. B.Eng. (Hons.) thesis, Dept. of Environmental Eng.,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Australia. Baines, P.G. (1983). Tidal motion in submarine canyons – a laboratory experiment. J. Physical Oceanography, 13: 310-328. Benjamin, T.B. (1966). Internal waves of finite amplitude and permanent form. J. Fluid Mech., 25: 241-270. Bole, J.B., Ebbesmeyer, J.J. and Romea, R.D. (1994). Soliton currents in South China Sea: measurements and theoretical modelling. Proc. 26th Annual Offshore Tech. Conf., Houston, Texas. 367-375. Burnside, W. (1889). On the small wave-motions of a heterogeneous fluid under gravity. Proc. Lond., Math. Soc., (1) xx, 392-397. Chen C.Y., J.R-C. Hsu, H.H. Chen, C.F. Kuo and Cheng M.H (2007). Laboratory observations on internal solitary wave evolution on steep and inverse uniform slopes. Ocean Engineering, 34: 157-170. Cheng M.H., J.R-C. Hsu, C.Y. Chen (2005). Numerical model for internal solitary wave evolution on impermeable variable seabad, Proc.27th Ocean Eng, pp.355-359. Choi, W. and Camassa, R. (1996). Weakly nonlinear internal waves in a two-fluid system. J. Fluid Mech., 313: 83-103. Ebbesmeyer, C.C., and Romea, R.D. (1992). Final design parameters for solitons at selected locations in South China Sea. Final and supplementary reports prepared for Amoco Production Company, 209pp. plus appendices. Ekman, V. M., (1904). “On dead-water, Norwegian North Polar Expedition”, 1893-1896. Scientific Results, 5(15):1-150. Farmer, D.M. (1978). Observation of long nonlinear internal waves in a lake. J. Phys. Oceanography, 8(1): 63-73. Garret, C. and Munk, W. (1972). Space-time scales of internal waves. Geophys. Fluid Dyn., 3: 225-264. Gill, A.E. (1982). Atmosphere-Ocean Dynamics. International Geophysical Series, Vol. 30, San Diego, CA: Academic Press. Harleman, D.R.F. (1961). Stratified flow. Ch. 26 in Handbook of Fluid Dynamics (ed., V. Streeter), NY: McGraw-Hill, (26): 1-21. Helfrich, K.R. (1992). Internal solitary wave breaking and run-up on a uniform slope. J. Fluid Mech., 243: 133-154.
Helfrich, K.R. and Melville, W.K. (1986). On long nonlinear internal waves over slope-shelf topography. J. Fluid Mech., 167: 285-308. Honji, H., Matsunaga, N., Sugihara, Y. and Sakai, K. (1995). Experimental observation of interanl symmetric solitary waves in a two-layer fluid. Fluid Dynamics Research, 15 (2): 89-102. Hsu, M.K., Liu, A.K., and Liu, C. (2000). A study of internal waves in the China Sea and Yellow Sea using SAR. Continental Shelf Research, 20: 389-410. Johns, K. (1999). Interaction of an internal wave with a submerged sill in a two-layer fluid. B.Eng. (Hons.) thesis, Dept. of Environmental Eng.,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Australia Kao, T.W., Pan, F.S. and Renouard, D. (1985). Internal solitions on the pycnocline: generation, propagation, shoaling and breaking over a slope. J. Fluid Mech. 159: 19-53. Koop, C.G. and Butler, G. (1981). An investigation of internal solitary waves in a two-fluid system. J. Fluid Mech., 112: 225-251. Lin, T.W. (2001). A study on internal waves characteristics in north of South China Sea, Master Thesis, Institute of Oceanography, National Taiwan Univ., Taiwan. (In Chinese). Lynett, P., Wu, T.-R. and Liu, P. L.-F. (2002), Modeling wave runup with depth-integrated equations, Coastal Engineering, Vol. 46, pp. 89-107. Ming-Hung Cheng,John R.-C. Hsu, Chen-Yuan Chen and Cheng-Wu Chen (2009). Modelling the propagation of an internal solitary wave across double ridges and a shelf-slope.Environ Fluid Mech,9:321–340. Ming-Hung Cheng and John R.C. Hsu (2011). Effect of frontal slope on waveform evolution of a depression interfacial solitary wave across a trapezoidal obstacle. Ocean Engineering. Matsuno, Y. (1993). A unified theory of nonlinear wave propagation in two-layer fluid systems. J. Phys. Soc. Japan, 62: 1902-1916. Michallet, H. and Barthelemy, E. (1998). Experimental study of interfacial solitary waves. J. Fluid Mech., 366: 159-177. Muller, P. and X. Liu (2000). Scattering of internal waves at finite topography in two dimensions. Part I: Theory and case studies, J. Phys. Oceanogr., 30: 532-549 Nagashima, H. (1971). Reflection and breaking of internal waves on a sloping beach. J. Oceanographical Soc. Japan, 27(1): 1-6. Nansen, F. (1902). The oceanography of the north polar basin. Sci. Results, Norwegian North Polar Expedition 1893-1896, 3: 9. Osborne, A.R. and Burch, T.L. (1980). Internal solitons in the Andaman Sea. Science, 208 (43): 451-460
82 Russell, J.S. (1844). On waves. Report of the 14th Meeting of the British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York, 311-390. Sandstrom, H. and Elliot J. A. (1984). Internal tide and solitons on the Scotian Shelf: a nutrient pump at work.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9 (C4): 6415-6428. Stokes G.G. (1847). On the Theory of Oscillatory Waves. Transaction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8: 441–455. Strutt, J. W., Lord Rayleigh. (1883).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 of the equilibrium of an incompressible heavy fluid of variable density.Proceedings of the London mathematical society, 8: pp. 170-177. Sveen, J.K., Guo, Y., Davies, P.A. and Grue, J. (2002). On the breaking of internal solitary waves at a ridge. J. Fluid Mech., 469 (25): 161-188. Vlasenko, V., and Hutter, K. (2002). Numerical experiments on the breaking of solitary internal waves over a slope-shelf topography. J. of Physical Oceanography, 32(6), pp.1779-1793. Wessels F. and Hutter K. (1996). Interaction of internal waves with a topographic sill in a two-layered fluid. J. Phys. Oceanogr , 26: 5-20
ISEEP (In Situ Erosion Evaluation Probe 2)를 사용한 교량 기초의 세굴 평가
M. Kayser1 and M. A. Gabr2
Abstract
이 논문의 요약 작업은 교각에서 세굴 깊이를 평가하기 위해 현장 침식 평가 프로브 (ISEEP)의 사용을 제시합니다. 2011 년 허리케인 아이린으로 피해를 입은 노스 캐롤라이나 아우터 뱅크스 부지의 수치 모델링 및 장치 배치는 제안 된 개념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소프트웨어 인 FLOW-3D는 교각에서 세굴 깊이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그 결과는 과도한 흐름 전력 모델을 사용하여 ISEEP 추정 매개 변수를 기반으로 한 값과 비교됩니다. 세굴 깊이는 수치 분석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조건을 가정하는 경험적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FLOW-3D를 사용한 파라 메트릭 분석은 세굴 깊이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매개 변수 중 연행 계수 (Ce)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항력 계수 (Cd)는 분석에 사용 된 값 범위 내에서 가장 작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ISEEP 데이터는 깊이 측면에서 모래층의 특성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에 ISEEP 데이터를 기반으로하는 추정 된 세굴 깊이는 수치 분석에서 얻은 세굴 크기와 비교적 잘 일치합니다.
대조적으로, 경험적 방정식에서 계산 된 세굴 깊이는 주로 세굴 깊이를 과소 평가했는데, 이는 주로 방정식에 층상 토양 프로파일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ISEEP 데이터를 사용하면 토양층의 특성이 깊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세굴 매개 변수의 현장 평가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상당한 비율의 정교함을 포함하는 토양의 적용 가능성 평가를 포함하여 현장 테스트 절차와 데이터 감소 접근법에 대한 추가 검증이 권장됩니다.
INTRODUCTION
Lagasse et al. (1), 미국에는 하천과 강을 가로 지르는 488,750 개의 교량이 있었고, 수색 관련 교량 고장에 대한 연간 비용은 3 천만 달러로 추산되었습니다. 또한 지난 30 년 동안 미국에서 1,000 개 이상의 교량이 붕괴되었으며, 이러한 고장의 약 60 %는지지 기반 시스템의 과도한 수색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보고되었습니다 (2).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지원하는 토양의 침식률과 수력 구조의 설계, 작동 및 수명 기간 동안 수색 가능성의 모니터링 및 평가와 토양 침식률 결정이 필요합니다. 초기 설계 단계에서 중요 할뿐만 아니라 이러한 침식 크기 및 비율 데이터는 유지 보수 우선 순위를 개발하고 교체 일정을 수립하는데도 필요합니다. 깊이에 따른 현장 침식 가능성을 평가하기위한 현재 기술은 Briaud 등이 개발 한 Erosion Function Apparatus (EFA)와 같은 장치에서 실험실 테스트를 위해 토양 샘플을 제거해야합니다. (2) 또는 시간에 따른 머드 라인 고도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이미 발생한 침식 만 측정합니다. 이러한 기술에 사용되는 기기는 단순한 강철 사운 딩로드에서 전자파 및 / 또는 음파 전파가있는 소나를 사용하는 원격 감지 장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Lu et al. (3) 음향 도플러 및 지상 침투 레이더와 같은 정교한 접근 방식은 비용이 많이 들고 빈번한 유지 보수 및 수리가 필요합니다. Hanson et al. (4)와 Hanson과 Cook (5)은 현장에서 침식 가능성의 표면 측정을 위해 수직 제트의 사용을보고했습니다. 이 저자들은 적용된 전단 응력의 형태로 충돌 제트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을 렌더링하는 프레임 워크를 제시했습니다. 이 경우 잠재적 인 코어는 물이 원래 상태를 유지하는 제트의 일부로 정의됩니다.
음향학적 입자 초점은 미세 유체 채널의 용액에서 다양한 물체를 제거하는 현대적이고 매우 매력적인 방법입니다. 이 프로세스는 의료 애플리케이션 (악성 세포 제거), 학술 연구 (나노 입자 분리), 산업 애플리케이션 (희토류 재생) 및 환경 애플리케이션 (부유 고형물 격리)에 적용됩니다. 이 기술은 압력 펄스를 사용하여 실질적인 접촉없이 소량의 유체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매우 부드러운 프로세스로 간주 될 수 있습니다.
FLOW-3D는 대략적인 분석 솔루션을 사용하는 대신 유동 역학의 결과로 입자에 작용하는 힘을 직접 포착하기 위해 음향 영동 과정을 모델링하는 데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FLOW-3D에서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설정하는 것은 특정 주파수에서 음파를 생성 할 수있는 탄성 멤브레인 모델로 인해 간단합니다.
이 음향 영동 애니메이션은 500μm 높이와 2mm 길이의 마이크로 채널에서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서 계산 영역으로 들어가는 입자를 보여줍니다. 1Mhz 주파수의 정재 음향 파의 영향을 받아 입자는 채널 중앙에 집중됩니다. 입자 모션은 4000 개의 동안 캡처됩니다.
Many numerical approximations to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are unusable because they produce unstable computational results. Computational stability issues have been discussed in two previous articles in the CFD-101 series: Computational Stability and Heuristic Analysis. In this article, a simple mechanical model is described that leads to an understanding of common numerical instabilities associated with approximations of the Navier-Stokes equations. In particular, the simple model applies to instabilities arising from fluid dynamic forces such as viscous stress, surface tension, elasticity and more. The stability conditions obtained with the simple model do not depend on any particular numerical approximations, but instead involve only generic considerations of mass and forces.
편미분 방정식의 많은 수치 근사는 불안정한 계산 결과가 발생하므로 불안정합니다. 계산 안정성의 문제는 “전산 유체 역학 모델의 기초”시리즈의 마지막 2 항, 즉 계산 안정성과 휴리스틱분석 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 절에서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과 관련된 일반적인 수치 불안정성의 이해로 이어질 간단한 기계적 모델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간단한 모델은 특히 점성 응력, 표면 장력, 탄성 등의 유체 역학적인 힘에서 발생하는 불안정성에 적용됩니다. 간단한 모델에 의해 얻어지는 안정성 조건은 특정 수치 근사에 의존하지 않지만 대신 질량과 힘에 대한 일반적인 고려 사항만을 포함합니다.
The Model System
Figure 1. Model System
Imagine a mass M located between two rigid walls and connected to the walls by springs, as shown in Fig. 1. Assuming that the springs satisfy Hook’s law in which a spring force on the block is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length of the spring, an equation of motion for the block, which moves in only the horizontal direction is,
그림 1과 같이 두 강체 벽 사이에 위치하고 그 벽에 스프링으로 연결된 질량 M을 가정합니다. 블록에 작용하는 스프링 힘이 스프링의 길이의 변화에 비례하는 훅의 법칙을이 스프링이 채운다고 가정했을 경우,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하는 블록의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됩니다.
(1)
Symbol X0 indicates the initial x position of the block and M is the block mass. Initially X=X0 and the block is at rest, U=0. Now imagine a perturbation given to the block by assigning a velocity of U0 at time t=0. After a small time interval δt the block moves to position X1=X0+U0δt and a simple discretization of Eq. 1 gives the velocity at the end of the time interval as,
기호 X0는 블록의 초기 x 위치를 나타내는 기호 M은 블록의 질량을 나타냅니다. 초기 상태에서는 X = X0이며, 블록은 정지하고, U = 0입니다. 여기서, 시간 t=0에서 속도 U=0을 지정하여 블록에 섭동을 준다고 가정합니다. 작은 시간 간격 δt 후 블록은 위치 X 1 = X 0 + U 0 δt로 이동하여 식 1의 간단한 이산화에 의해 시간 간격의 마지막의 속도는 아래 식과 같이 표현됩니다.
(2)
Replacing X1 by its value X0+U0 δt and rearranging gives an equation for the new velocity U1,
X1을 값 X0 + U0 δt로 치환하여 정리하면 새로운 속도 U1의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3)
This is a recursion in which for each successive time-step the velocity at the end of the time step is equal to the previous value of the velocity times the bracketed quantity in Eq. 3, so that after n time steps,
이것은 재귀 식이고, 연속하는 각 시간 단계에 대해 그 시간 단계의 마지막에 속도가 이전 시간 단계의 속도 값으로 식 3의 괄호 안의 금액을 곱한 값과 같아, n 시간 단계 후에는 아래와 같이됩니다.
(4)
Note that the superscript n on the bracketed quantity in Eq. 4 is an exponent, not a time level index, although its value in this case is the same as the time level index. From Eq. 4 we see that if the quantity in the bracket has an absolute magnitude larger than 1.0 the velocity Un will increase exponentially with increasing n. Thus, to prevent the exponential growth of the velocity in this model system, the time-step size must be limited to satisfy the following inequality,
식 4의 괄호 안의 금액의 위 첨자가 시간 수준 지표가 아닌 지수인 것에주의하십시오. 그러나 이 경우 지수 값과 시간 수준 지표는 동일합니다. 식 4에서 괄호 안의 금액이 1.0보다 큰 절대 값을 가지는 경우, 속도 Un은 n의 증가와 함께 지수 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모델 시스템에서 속도의 기하 급수적 증가를 막기 위해서는 다음의 부등식을 만족하도록 시간 단계 크기를 제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5)
When the left hand side of Eq. 5 is greater than one, the velocity Un will oscillat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on consecutive time steps while exponentially increasing in magnitude.
식 5의 왼쪽이 1보다 큰 경우 속도 Un은 크기가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연속 시간 단계에서 양수와 음수 사이를 진동하게됩니다.
This behavior is characteristic of a classical numerical instability. In this case, Eq. 5 shows that the instability can be prevented by keeping δt small enough to satisfy the inequality. As a general rule when a numerical instability occurs and exhibits the character of increasing plus and minus values on successive time steps it can be cured by reducing the time-step size.
이 동작은 고전적인 수치 불안정성의 특징입니다. 이 예에서는 불평등을 충족 δt를 충분히 작게 유지하여 불안정성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고 식 5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치 불안정성이 발생하여 연속 시간 단계에서 증가하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값의 특징이 나타난 경우는 시간 단계 크기를 작게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Exploring this simple mechanical model further we can see from Eq. 4 that the instability results from an overreaction to an initial action. That is, when the time-step size large, Eq. 4 predicts a new velocity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with a larger magnitude. This excessive velocity then becomes the starting condition for the subsequent time step, leading to an exponential increase in the velocity magnitude.
이 간단한 기계적 모델을 더 고려하면 불안정성이 초기 작용에 대한 과민 반응에 기인하는 것으로 식 4에서 알 수 있습니다. 즉, 시간 단계 크기가 큰 경우, 식 4는 반대 방향의 크기가 커진 새로운 속도가 예상됩니다. 이 과잉 속도가 이번에는 다음 시간 단계의 시작 조건이 속도의 크기의 지수적인 증가로 이어집니다.
The stability condition in Eq. 5 is based on an explicit formulation, meaning that the current response of the mass is expressed in terms of the previous displacement. An implicit formulation,where the current response of the mass is based on the subsequent position of the mass (i.e., using X2 in Eq. 2 instead of X1) would likely be unconditionally stable, but it requires a knowledge of the unknown final position X2. For most equations implicit methods require an iterative solution, and the additional computational effort required for such solutions is the price that must be paid to eliminate the stability condition.
식 5의 안정성 조건은 explicit 배합에 따라 있습니다. 이것은 질량의 현재 응답이 이전의 변위에 의해 표현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질량의 현재 응답이 후속 위치에 따른 implicit 공식화 (즉, 식2의 X1 대신 X2를 사용)는 무조건 안정이라고 생각됩니다 만, 미지의 최종 위치 X 2 이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방정식의 경우, implicit 해법은 반복 분석이 필요하기 때문에 반복 분석에 필요한 추가의 계산량은 안정성 조건을 없애기 위해 지불해야하는 대가입니다.
Application to the Navier-Stokes Equation
To use the above mechanical model of a numerical instability to understand instabilities that may occur in the Navier-Stokes equation imagine two elements of an Eulerian computational grid in which a perturbation is made to a velocity on the boundary separating two elements, as shown in Fig. 2.
위의 기계적 모델의 수치 불안정성을 이용하여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성을 이해하기 위해 그림 2와 같이 두 개의 요소를 나눌 경계의 속도에 섭동이 된 오일러 계산 격자에 의한 2 개의 요소를 가정합니다.
Figure 2. Grid Model
For simplicity, think of the elements outlined by solid lines as cubes of equal size, and that the vector represents a velocity in the x direction. The dashed lines in the centers of the elements (i.e., y-z planes) define the extent of the partial volumes of the elements assigned to the u velocity. The total mass of fluid in the partial volumes correlates to the mass M in the mechanical model. When the velocity U moves fluid between elements the elements respond by generating forces that act to counter the velocity, much like the springs in the mechanical model. These forces may arise because of compression or expansion of the fluid, viscous stresses, surface tension (if there is a fluid interface within the fluid mass M) or other forces. By identifying the appropriate stiffness coefficient k in each case we can use Eq. 5 to arrive at a stability criterion for that physical process when using an explicit numerical approximation in a grid like that shown in Fig. 2.
간단히, 실선에 의해 윤곽이 그려져 있는 요소가 동일 크기의 입방체라고하고 벡터 x 방향의 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두 요소의 중앙 (즉 yx 평면)의 점선에 의해 속도 U에 할당 된 요소의 부분 체적의 범위가 정의됩니다. 부분 체적 내에 유량의 전체 질량은 기계적 모델의 질량 M과 상관 관계가 있습니다. 속도 U는 응답 요소 사이의 유체가 이동 된 경우 기계적 모델 스프링과 마찬가지로 속도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힘을 발생하여 요소는 응답합니다. 이러한 힘은 유체 점성 응력, 표면 장력 (유체와 질량 M의 범위 내에 유체 계면가있는 경우) 또는 기타의 힘에 의한 압축 또는 인장으로 인해 발생 될 수 있습니다. 각 예에서 적절한 강성 계수 k를 특정하여 그림 2와 같은 격자에서 양으로 수치 근사를 사용하는 경우, 식 5를 사용하여이 물리적 과정에 대한 안정성 기준에 도달 가능합니다.
Several examples of how this analogy can be applied are given in the following sections. In each case the mass M of the fluid in the partial volumes is given by,
이 유사성을 어떻게 적용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예는 다음 절에서 설명합니다. 각 예에서 부분 부피의 유체의 질량 M은 아래 식에 의해 주어집니다.
(6)
where ρ is the density of the fluid and elements have dimensions δx, δy and δz.
여기서, ρ는 유체의 밀도이며, 요소의 치수는 δx, δy와 δz입니다.
Compressible Fluids
To find the stiffness coefficient, k, recall that k is a measure of the force generated to resist an applied perturbation. For a compressible fluid this force is related to the change in fluid pressure because of a change in fluid density according to the thermodynamic relation dp=c2dρ, where c is the speed of sound in the fluid. The fluid mass moved across the boundary between the elements is ρUδt*δyδz and the change in density in the element receiving the mass is this mass change divided by the volume of the element, dρ=ρUδt/(δx). The corresponding change in element pressure is then given by
강성 계수 k를 요구하려면, k가 더해진 섭동에 저항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힘의 척도임을 기억하십시오. 압축성 유체의 경우,이 힘은 유체 압력의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것은 열역학적 관계 dp = c 2 dρ 의한 유체 밀도의 변화에 의한 것입니다. 여기서 c는 유체의 음속입니다. 요소 사이의 경계를 넘어 이동 한 유체의 질량은 ρUδt * δyδz이며, 질량을받는 요소에서의 밀도 변화는이 질량을 요소의 부피로 나눈 dρ = ρUδt / (δx)입니다. 그 결과, 요소 압력의 대응하는 변화는 아래에 제공됩니다.
(7)
The force responding to the U velocity perturbation in each element is the product of the pressure change from Eq. 7 and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element δyδz. The effective stiffness of an element k, is therefore the force divided by the initial displacement Uδt,
각 요소의 속도 U의 섭동에 응답하는 힘은 식 7에 의한 압력 변화와 요소 단면적 δyδz의 곱입니다. 따라서 요소의 유효 강성 k는 힘을 초기 변위 Uδt로 나눈 것입니다.
(8)
Substituting this value for k and the definition for M, from Eq. 6, into the stability condition Eq. 5 results in the stability condition for compressible fluids,
이 k의 값과 식 6에 따르면 M의 정의를 안정성 조건 식 5에 대입하여 압축성 유체의 안정성 조건을 얻을 수 있습니다.
(9)
This is the well-known Courant condition than restricts the distance a sound wave travels in one time step to be less than the width of a computational element. An analogy with the simple mechanical model has provided this result without the need to write out an equation for pressure waves in a compressible fluid and then perform a stability analysis on that equation.
이것은 하나의 시간 스텝 중에 음파가 진행하는 거리를 계산 요소의 폭보다 짧게 제한하는 잘 알려진 쿨랑 조건입니다. 간단한 기계적 모델과의 유사성에 따라 압축성 유체 음파 방정식을 기술하고, 그 방정식에 의한 안정성 분석을 수행 할 필요없이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Viscous Stresses / 점성 응력
The viscous forces that are generated in response to a perturbed velocity U in a fluid of viscosity μ consist of shears in the x, y and z directions. For example, the shear stres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ement for the velocity U is μU/δz, assuming that the velocity in neighboring cells is zero. There is a corresponding stress at the upper surface of the element. Each of these stresses act on a surface of area δxδy (in the current example) to produce a viscous force. Similarly, there are stresses in the x and y direction acting on their corresponding areas. In each direction there are force pairs (similar to the two springs) but because of Eq. 5 it is necessary to use the effective k for a single spring. This is half of the total of all the the viscous forces divided by the initial displacement Uδt,
점도 μ의 유체의 섭동 속도 U에 대해 생성되는 점성 힘은 x, y 및 z 방향의 전단력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인접 셀의 속도가 0이라고 가정하면 속도 U에 요소의 아랫면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은 μU / δz입니다. 요소의 표면에는 압축 응력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응력의 각각은 표면적 δxδy (본 예의 경우)에 작용하고 점성 힘을 발생합니다. 마찬가지로 해당 면적에 작용하는 x 및 y 방향의 응력도 존재합니다. 각 방향에서 (2 개의 봄처럼) 세트 힘이 존재하지만, 식 5를 위해 1 개의 봄의 유효 강성 k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은 모든 점성 힘의 합계를 초기 변위 Uδt로 나눈 것의 절반입니다.
(10)
Inserting this value for k and using Eq. 6 for M into the stability condition for the mechanical model given in Eq. 5 yields
식 5에 의해 주어진 기계적 모델의 안정 조건에 k의 값을 넣고 M 식 6을 사용하면 아래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11)
Equation 11 is the stability condition for explicit viscous stresses approximated in an Eulerian grid.
식 11은 오일러 격자에 근접한 explicit 점성 응력의 안정성 조건입니다.
Surface Tension
Figure 2A. With deformed interface.
Imagine a fluid interface located between the two elements that is deformed by a U velocity perturbation, as shown in Fig. 2A. In this case the reaction is a surface tension force on each of the segments of the surface illustrated in Fig. 2A. For simplicity, assume a two-dimensional surface (e.g., no variation in the z direction) and a constant surface tension coefficient σ.
그림 2A와 같이 속도 섭동 U에 의해 변형된 2 개의 요소 사이에 위치하는 유체 계면을 상정합니다. 이 예에서, 반응은 그림 2A에 표시된 표면의 각 구분에 작용하는 표면 장력에 의한 힘입니다. 간단히 2 차원 표면 (예 : z 방향의 변화없이)과 일정한 표면 장력 계수를 가정합니다.
Surface tension in each segment acts tangentially along the surface so the force responding to the U velocity is the x component of that force, i.e., the surface tension coefficient times the sine of the angle of the surface segment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For a small initial displacement, the x-force from each surface segment can be approximated by σUδtδz/δy giving the resulting stiffness coefficient,
각 구분의 표면 장력은 표면에 따라서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속도 U에 대응하는 힘은 표면 장력의 x 성분입니다. 즉, 수직의 표면 구분 각도의 사인을 표면 장력에 곱한 것입니다. 작은 초기 변위의 경우 각 표면 세그먼트에서 x 방향의 힘은 σUδtδz / δy 의해 근사 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다음의 강성 계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12)
Substituting this k and M into Eq. 5 gives the stability condition for surface tension,
이 k와 M을 식 5에 대입하면 표면 장력에 대한 안정성 조건을 얻을 수 있습니다.
(13)
This result appears somewhat odd because of the different exponents of the δx and δy factors, but for cubic or square elements this makes no difference. For non-uniform elements, however, we should perform a similar evaluation in the y and z directions and then use the most restrictive of the results. In any case, this is a reasonable and useful result from a very simple model based on action and reaction principles.
이 결과는 δx과 δy 지수가 다르기 때문에 다소 이상하게 보이지만, 입방체 또는 사각형 요소의 경우 그 영향은 없습니다. 하지만 For non-uniform 요소의 경우 y 및 z 방향에서 비슷한 평가를 실시하여 가장 제한적인 결과를 사용할 수 있어야합니다. 어쨌든, 이것은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에 근거한 매우 간단한 모델에 의한 합리적이고 유익한 결과입니다.
Bulk Elasticity / 체적 탄성
For a fluid with elastic properties the U velocity perturbation is resisted by an elastic stress in a way that closely resembles a spring. If ε is the bulk modulus of the fluid then the stress associated with extension or compression in an element is εUδt/δx. This stress acts over the surface area δyδz, and the stiffness k is this force divided by the displacement Uδt. Substituting this into Eq. 5 provides the stability condition,
탄성 특성을 가진 유체의 경우 속도 U의 섭동은 스프링과 잘 닮은 형식의 탄성 응력에 의해 제한됩니다. 유체의 체적 탄성률이 ε의 경우 요소의 인장 또는 압축에 관련하는 응력은 εUδt / δx입니다. 이 응력은 표면적 δyδz 작용하고 강성 k는이 힘을 변위 Uδt로 나눈 것입니다. 이것을 식 5에 대입하면 아래의 안정성 조건을 얻을 수 있습니다.
(14)
Similar results exist for the y and z directions.
비슷한 결과가 y 및 z 방향으로도 존재합니다.
Concluding Remarks
A simple mechanical model has been used to illustrate a common type of numerical instability, that arises from an action-reaction process. Using this simple model it is possible to quickly derive a variety of stability conditions for fluid dynamic forces modeled by explicit finite difference approximations in an Eulerian grid. The stability conditions are derived by using mass and force concepts in fluids that are analogous to the mass and forces in the model mechanical system. Significantly, the stability conditions arrived at are generic and do not depend on specific finite-difference approximations. Additionally, these derivations provide a simple way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driving the unstable behavior.
간단한 기계적 모델을 사용하여 작용과 반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유형의 수치 불안정성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이 간단한 모델을 사용하여 오일러 격자의 양으로 유한 차분 근사에 의해 모델링 된 유체 역학적인 힘에 대한 다양한 안정성 조건을 신속하게 도출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안정성 조건은 기계적 모델 시스템의 질량과 힘 유사한 유체의 질량과 힘의 개념을 이용하여 도출됩니다. 중요한 점은 도달한 안정성 조건이 일반적이며 특정 유한 차분 근사에 의존하지 않는 것입니다. 또한이 도출에 의해 불안정한 거동을 야기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간단한 방법도 제공됩니다.
The approach taken here could be extended to other types of physical forces (e.g., electrical, non-inertial, etc.) and even advective processes could be included by using the analogy that a change in momentum resulting from advection could be thought of as the result of an equivalent force.
여기서 사용한 방법은 다른 유형의 물리적 힘 (예 : 전기적 힘 비 관성력 등)로 확장 할 수 있으며, 이류(advective )에 의해 생기는 운동량의 변화를 등가 힘의 결과로 생각되면 유사성을 이용함으로써 이류 과정조차 포함 할 수 있습니다.
Furthermore, more refined estimates of the stiffness coefficient, for instance, by including more dimensional effects, could be added to enhance the stability conditions. In any case, the object here is to show that numerical instabilities can often be understood from a simple analysis. It is hoped that the insight this provides might guide the development of more robust and accurate numerical approximations.
또한, 예를 들어 더 많은 차원 효과를 포함하여 강성 계수보다 정밀한 추정을 추가하고 안정성 조건을 강화 할 수 있습니다. 어쨌든 여기에서의 목표는 대부분의 경우 수치 불안정성을 간단한 분석에서 이해하고 보여주는 것입니다. 여기에 제공된 통찰력이 더 강력하고 정확한 수치 근사치의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