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ve

Using FLOW-3D as a CFD Materials Approach in Waves Generation

FLOW-3D를 이용한 파랑 생성의 CFD 재료 접근법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FLOW-3D®를 이용하여 파랑 생성 및 파랑 붕괴 현상을 수치적으로 분석함.
  • 실험적인 접근법과 비교하여 CFD 기반 시뮬레이션의 정확도 및 적용 가능성을 평가함.
  • 포리어 급수(Fourier series) 및 CFD 모델을 적용하여 다양한 파랑 조건을 해석함.
  • 해양 구조물 및 파력 발전 설계를 위한 정확한 파랑 모델링 가능성을 탐색함.

연구 방법

  1. 파랑 수치 모델링 및 설정
    • FLOW-3D®의 자유 표면 모델(Free-Surface Model)을 활용하여 파랑 형성을 시뮬레이션함.
    • 포리어 급수(Fourier Series) 방법을 적용하여 수치적으로 파랑의 기본 형태를 정의함.
    • 난류 모델 적용: Reynolds-Averaged Navier-Stokes(RANS) 모델을 사용하여 난류 효과를 고려함.
  2. FLOW-3D® 시뮬레이션 설정
    • 초기 및 경계 조건을 설정하여 파랑의 전파 및 붕괴 과정을 분석함.
    • 다양한 파고 및 주기를 적용하여 파랑의 다양한 특성(높이, 주기, 속도 등)을 평가함.
    •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여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함.
  3. 결과 비교 및 검증
    • 시뮬레이션 결과를 실험적 연구 및 기존 문헌 데이터와 비교 분석함.
    • 파랑 생성 및 붕괴 과정에서 발생하는 동역학적 변화를 평가함.
    • 해양 구조물 및 파력 발전과의 적용 가능성을 논의함.

주요 결과

  1. 파랑 생성 및 붕괴 특성 분석
    • FLOW-3D®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높이와 주기의 파랑을 생성할 수 있음.
    • 높은 주파수의 파랑에서는 강한 붕괴(breaking) 현상이 발생하며, 저주파 파랑은 안정적인 진행성을 유지함.
    • 파랑 붕괴 시 에너지 소산 및 흐름 변화가 명확하게 나타남.
  2. 수치 모델의 신뢰성 평가
    • 실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시뮬레이션의 평균 오차율이 5~10% 수준으로 확인됨.
    • 높은 파고(high wave height)에서는 실험값보다 약간 낮은 수치를 예측하는 경향이 있음.
    • 추가적인 모델 보정 및 난류 효과 개선이 필요함.
  3. 해양 공학 및 에너지 적용 가능성
    • FLOW-3D®를 활용하면 파력 발전 시스템의 설계 최적화 가능.
    • 해양 구조물(방파제, 해상 플랫폼 등) 설계 시 파랑 하중 분석에 유용하게 적용 가능.
    •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추가적인 시뮬레이션 검증 필요.

결론

  • FLOW-3D®를 활용한 CFD 시뮬레이션은 파랑 생성 및 붕괴 분석에 효과적임.
  • 실험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높은 신뢰성을 보이며, 일부 난류 모델 개선이 필요함.
  • 해양 공학 및 파력 발전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함.
  •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파랑 조건 및 실제 환경 적용성을 추가로 검토해야 함.

Reference

  1. Abd Alall, Mostafa. ‘‘Numerical Investigation of hydrodynamic Performance ofDouble Submerged Breakwa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Engineering Research 11(3), (2020). ISSN 2229-5518
  2. Ahmed, Hany and Abo-Taha, M. ‘‘Numerical Investigation of Regular WavesInteraction with Submerged Breakwate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Engineering Research 10(11), (2019). ISSN 2229-5518.
  3. S.T. Grilli, M.A. Losada, F. Martin, Characteristics of solitary wave breakinginduced by breakwaters, J. Waterway, Port, Coastal, Ocean Eng. 120 (1) (1994)74–92.
  4. F. Hajivalie, A. Yeganeh-Bakhtiary, Numerical study of breakwater steepnesseffect on the hydrodynamics of standing waves and steady streaming, J.Coastal Res. (2009) 658–662.
  5. F. Hajivalie, A. Yeganeh-Bakhtiary, J.D. Bricker, Numerical study of theeffect of submerged vertical breakwater dimension on wave hydrodynamicsand vortex generation, Coastal Eng. J. 57 (3) (2015) 1550009-1–1550009-21.
  6. Hayakawa, Norio, Tokuzo Hosoyamada, Shigeru Yoshida, and GozoTsujimoto. ‘‘Numerical simulation of wave fields around the submergedbreakwater with SOLA-SURF method.” In Coastal Engieering 1998, pp. 843-852. (1999).
  7. D.-S. Hur, C.-H. Kim, D.-S. Kim, J.-S. Yoon, Simulation of the nonlinear dynamicinteractions between waves, a submerged breakwater and the seabed, OceanEng. 35 (5-6) (2008) 511–522.
  8. D.-S. Hur, K.-H. Lee, D.-S. Choi, Effect of the slope gradient of submergedbreakwaters on wave energy dissipation, Eng. Appl. Comput. Fluid Mechanics 5(1) (2011) 83–98.
  9. K. Kawasaki, Numerical simulation of breaking and post-breaking wavedeformation process around a submerged breakwater, Coastal Eng. J. 41 (3-4) (1999) 201–223.
  10. B. Liang, G. Wu, F. Liu, H. Fan, H. Li, Numerical study of wave transmission overdouble submerged breakwaters using non-hydrostatic wave model,Oceanologia 57 (4) (2015) 308–317.
  11. H.A.H. Petit, P. Tönjes, M.R.A. Van Gent, P. Van Den Bosch, Numericalsimulation and validation of plunging breakers using a 2D Navier-Stokesmodel, Coastal Eng. 1994 (1995) 511–524.
  12. A. Sasikumar, A. Kamath, O. Musch, A. Erling Lothe, H. Bihs, Numerical studyon the effect of a submerged breakwater seaward of an existing breakwater forclimate change adaptation, ASME 2018 3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Ocean, Offshore and Arctic Engineering,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Engineers Digital Collection, 2018.
  13. Takahiro Uemura, A numerical simulation of the shape of submergedbreakwater to minimize mean water level rise and wave transmission,TVVR13/5004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