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ur Dikes 주변의 3차원 유동장 시뮬레이션

연구 배경 및 목적
문제 정의
- Spur Dikes는 하천 제방 보호 및 유로 조절을 위해 사용되며, 국부적인 세굴(scour)과 유동장 변화가 발생함.
- 기존의 물리 실험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컴퓨터 기반 CFD(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연구가 필요함.
연구 목적
- FLOW-3D를 이용하여 Spur Dikes 주변 유동 특성을 3차원적으로 분석.
-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여 FLOW-3D 모델의 정확성을 검증.
- 다양한 난류 모델(RNG k-ε, LES 등)의 성능을 비교하여 최적의 난류 모델 선정.
연구 방법
실험 및 수치 모델 개요
- 연구 대상: 연속된 세 개의 Spur Dikes가 있는 수로.
- 실험 조건:
- 수로 길이 12.2m, 폭 0.6m, 깊이 1.2m.
- Sontek ADV를 이용하여 유속 측정.
- 실험 후 세굴 형상 측정 및 모델 검증 수행.
FLOW-3D 기반 CFD 시뮬레이션 설정
- VOF(Volume of Fluid) 기법을 사용하여 자유 수면 추적.
- RNG k-ε, LES 및 표준 k-ε 난류 모델 비교.
- 격자(Grid) 민감도 분석을 통해 최적의 격자 크기 결정(3mm).
- 경계 조건:
- 유입: 평균 속도 0.29m/s 적용.
- 유출: 자유 배출(outflow) 경계 설정.
- 바닥: No-slip 조건 적용, 이동 가능한 퇴적층 설정.
주요 결과
유동 및 세굴 특성 분석
- Spur Dikes 전면에서 강한 와류(vortex) 발생 → 세굴 형성의 주요 원인.
- RNG k-ε 모델이 실험 데이터와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임.
- LES 모델은 고난류 영역에서 비교적 정확하지만 계산 비용이 높음.
- 표준 k-ε 모델은 난류 에너지를 과대평가(50% 이상의 오차).
결론 및 향후 연구
결론
- FLOW-3D 기반 시뮬레이션이 실험 결과와 높은 일치도를 보이며, Spur Dikes 주변의 유동 및 세굴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측 가능.
- RNG k-ε 모델이 가장 적합한 난류 모델로 평가됨.
- 세굴 깊이는 초기 및 주요 세굴 단계에서 대부분 결정되며, 이후 큰 변화 없음.
향후 연구 방향
- LES(Large Eddy Simulation) 적용 범위 확대 및 정확도 비교.
- 실제 하천 환경과의 비교 연구 수행.
- 세굴 예측 모델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실험 검증 수행.
연구의 의의
이 연구는 FLOW-3D를 활용하여 Spur Dikes 주변의 유동 및 세굴 현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수치 모델의 정확성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하천 관리 및 구조물 설계의 최적화에 기여할 수 있는 데이터와 분석 방법을 제공한다.
References
- F.D. Shields, Jr., C.M. Cooper, and S.S. Knight, Experiment in stream restoration, J. Hydraul. Eng., 121(6), 1995, 494–502.
- R.A. Kuhnle, Y. Jia, and C.V. Alonso, Measured and simulated flow near a submerged spur dike, J. Hydraul. Eng., 1348(7), 2008, 916–924.
- R.J. Garde, K. Subramanya, and K.D. Nambudripad, Study of scour around spur-dikes, J. Hydraul. Div., ASCE, 87(6), 1961, 23–37.
- E.M. Laursen, Analysis of relief bridge scour, J. Hydraul. Div., Am. Soc. Civ. Eng., 89(3), 1963, 93–118.
- M.A. Gill, Erosion of sand beds around spur dikes, J. Hydraul. Div., ASCE, 98(9), 1972, 1587–1602.
- T.F. Kwan, and B.W. Melville, Local scour and flow measurements at bridge abutments, J. Hydraul. Res., 32(5), 1994, 661–673.
- S.Y. Lim, Equilibrium clear water scour around an abutment, J. Hydraul. Eng., 123(3), 1997, 237–243.
- M.M. Rahman, N. Nagata, Y. Muramoto, and H. Murata, Effect of side slope on flow and scouring around spur-dike-like structures, Proc., 7th Int. Symp. on River Sedimentation, Hong Kong, China, 1998, 165–171.
- N. Nagata, T. Hosoda, T. Nakato, and Y. Muramoto,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for flow and bed deformation around river hydraulic structures, J. Hydraul. Eng., 131(12), 2005, 1074-1087.
- C.J. Posey, Why bridges fail in floods, Civ. Eng. (N.Y.), 19, 1949, 42–90.
- H.W. Shen, V.R. Schneider, and S. Karaki, Local scour around bridge piers, J. Hydraul. Div., Am. Soc. Civ. Eng., 95(6), 1969, 1919–1940.
- B. Dargahi, Flow field and local scouring around a pier. Bulletin No. TRITA-VBI-137, Hydraulic Laboratory, Royal Institute of Technology, Stockholm, Sweden, 1988.
- A. J. Raudkivi, Loose boundary hydraulics (3rd Ed., Pergamon, New York, 1990).
- F. Ahmed, and N. Rajaratnam, Flow around bridge piers, J. Hydraul. Eng., 124(3), 1998, 288 – 300.
- F. Ahmed, and N. Rajaratnam, Observations of flow around bridge abutment, J. Eng. Mech., 126(1), 2000, 51 – 59.
- B.W. Melville, Local scour at bridge abutments, J. Hydraul. Eng., ASCE, 118(4), 1992, 615–631.
- W.S. Uijttewaal, D. Lehmann, and A. van Mazijk, Exchange processes between a river and its groyne fields: model experiments, J. Hydraul. Eng., ASCE, 127(11), 2001, 928–936.
- V. Weitbrecht, W. Uijttewaal, and G.H. Jirka, 2D particle tracking to determine transport characteristics in rivers with dead zones, Proc., Int. Symp. Shallow Flows, Delft, The Netherlands, 2009, 103–110.
- M.A. Stevens, M.M. Gasser, and M.B.A.M. Saad, Wake vortex scour at bridge piers, J. Hydraul. Eng., 117(7), 1991, 891–904.



